“첼시 선상반란” 골키퍼 아리사발라가 사리 감독의 교체 지시 거부

“첼시 선상반란” 골키퍼 아리사발라가 사리 감독의 교체 지시 거부

임병선 기자
입력 2019-02-25 07:25
업데이트 2019-02-25 07: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첼시 수문장 케파 아리사발라가가 25일(한국시간) 맨시티와의 카라바오컵 결승 연장 후반 종료 직전 마우리시오 사리 감독의 교체 지시에 손을 내저으며 계속 골문을 지키겠다고 소리를 지르고 있다. 런던 로이터 연합뉴스
첼시 수문장 케파 아리사발라가가 25일(한국시간) 맨시티와의 카라바오컵 결승 연장 후반 종료 직전 마우리시오 사리 감독의 교체 지시에 손을 내저으며 계속 골문을 지키겠다고 소리를 지르고 있다.
런던 로이터 연합뉴스
경기 도중 감독이 교체 사인을 냈는데 골키퍼가 이를 거부하고 그라운드를 떠나지 않았다. 그리고 승부차기 끝에 졌다.

잉글랜드 프로축구 첼시가 25일(한국시간) 맨체스터 시티와의 카라바오컵 결승 연장 말미에 이런 황당한 일을 겪으며 승부차기에서 3-4로 져 맨시티의 2연패를 저지하는 데 실패했다. 그렇잖아도 경질 위협에 시달리고 있는 마우리시오 사리 감독은 0-0으로 맞선 연장 후반 종료 직전 케파 아리사발라가 골키퍼가 다쳐서 의료진의 치료를 받자 윌리 카바예요를 투입하기로 마음 먹고 준비 시켰다.

하지만 아리사발라가는 여러 차례 손가락을 내저으며 “안된다!”고 소리를 질러댔다. 조너선 모스 주심이 달려와 교체가 되는 건지 아닌지 물어봤고, 사리 감독은 화가 잔뜩 나 라커룸으로 향하는 터널 안으로 들어가버렸다가 나중에 벤치로 돌아왔다. 카바예오는 그라운드로 들어가야 할지, 벤치에 남아 있어야 할지, 아니면 라커룸으로 들어가야 할지 몰라 어리둥절해 했다.
마우리시오 사리 감독이 화가 잔뜩 나 포효하고 있다. 옆은 수석 코치 잔프랑코 졸라. PA통신 캡처
마우리시오 사리 감독이 화가 잔뜩 나 포효하고 있다. 옆은 수석 코치 잔프랑코 졸라.
PA통신 캡처
교체 투입을 위해 옆줄 근처에서 몸을 풀며 대기심과 함께 서 있던 윌리 카바예요가 아리사발라가의 교체 거부 이후 벤치에 되돌아와 사리 감독을 쳐다보며 “저 어디 있어야 해요?”라고 묻고 있는 듯하다. 런던 로이터 연합뉴스
교체 투입을 위해 옆줄 근처에서 몸을 풀며 대기심과 함께 서 있던 윌리 카바예요가 아리사발라가의 교체 거부 이후 벤치에 되돌아와 사리 감독을 쳐다보며 “저 어디 있어야 해요?”라고 묻고 있는 듯하다.
런던 로이터 연합뉴스
아리사발라가는 승부차기에서 르로이 사네의 킥을 막아 사리 감독의 주먹 쥐어 보이는 셀레브레이션을 유도했지만 라힘 스털링에게 120분 접전을 끝내는 한 방을 얻어맞아 맨시티에 왕관을 내줬다. 사리 감독은 경기 뒤 선수들이 패배해 망연자실해 그라운드에 붙박혀 있는데도 라커룸으로 들어가버렸다.

첼시 공격수 출신 크리스 서튼은 “첼시에 선상반란”이 일어났다며 아리사발라가를 향해 “명예를 실추시켰다. 이런 장면을 본 적이 없다. 첼시 유니폼을 입고 뛴 마지막 경기가 돼야 한다. 그가 다시 클럽을 위해 뛰게 해선 안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내가 사리였다면 떠났을 것이다. 그렇게 무시받을 순 없는 일이다. 왜 케파 같은 선수들에게 질질 끌려다니느냐”고 되물었다.

잉글랜드 대표팀과 토트넘 미드필더 출신 저메인 제나스는 감독을 “존중하지 않는 게” 확실해 보였지만 사리가 패배 뒤에 그라운드를 휙 떠나버려 “품격 없는 행동”을 했다고 지적했다. 전력 상 한참 달리는 경기를 대등하게 풀어간 선수들을 다독이고 상대 선수단에 축하를 보냈어야 했는데 그러지 않았다는 얘기다. 아무리 선수 하나 때문에 화가 잔뜩 났더라도 그러면 안된다는 것이다.

한때 프리미어리그를 이끌던 명문 클럽이 이렇게 콩가루 집안이 됐음을 여실히 보여준 만큼 첼시 수뇌부로선 어찌됐든 사태를 수습할 행동에 나설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