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성호 기자의 종교만화경] ⑬ 육두품 교회

[김성호 기자의 종교만화경] ⑬ 육두품 교회

입력 2015-10-20 10:08
업데이트 2015-10-20 15: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 교회는 강남의 육두품 교회입니다” 얼마 전 사랑의교회 담임 오정현 목사가 한 시사 매체와 인터뷰하면서 입에 올렸다는 한 대목이다. 신라시대의 신분제인 골품(骨品)에 빗댄 오 목사의 교회 구분에 따르면, 사랑의교회는 왕족이나 귀족 반열에 들지 않은 교회이다. 성골(聖骨), 진골(眞骨) 다음의 평민계층(六頭品) 교회라고 봐야 한다. ‘교회에 무슨 골품제’냐고 의아해 하는 이들이 많을 듯 싶다. 하지만 개신교계에서 ‘골품제’는 일반의 반응과는 달리 공공연하게 통하는 용어이다.

부모가 목사면 성골, 장로-권사면 진골, 일반신자면 육두품
 개신교계에서 회자되는 골품제의 정의는 대개 목회자의 구분 짓기로 알려져있다. 이를테면 부모가 목회자인 목사는 성골에 속하고 부모가 장로·권사이거나 장인이 목사인 경우 진골 축에 든다. 일반 신자였을 경우 육두품이란 계급이 매겨지는 것이다. 목회 현장에 몸담을 예비 목사들 사이에서도 이 골품제는 자연스럽게 통용된다고 한다. 물론 ‘진담반 농담반’의 우스갯소리로 하는 말이겠지만….

 오 목사의 ‘육두품 교회’ 발언은 어찌보면 낮은 곳으로 몸을 굽히는 소신일 수 있다. ‘적어도 우리 교회는 으시대고 군림하는 다른 대형교회들과 차원이 다르다’는 입장의 천명일 게다. 실제로 사랑의교회는 초대 고(故) 옥한흠 목사의 인도아래 ‘가장 대표적이고 건강한 복음주의 교회’라는 수식어를 한동안 달았었다. 그러다가 ‘논란 많은’ 교회로 평가절하되긴 했지만 여전히 그 교회는 강남의 대표 교회 격으로 세인들의 관심을 받는 교회임에 틀림없다.

 그 교회의 부침에는 초대형 예배당 건축과 담임인 오 목사 자신의 논문표절 같은 굵직굵직한 사건이 묻혀있음을 부인키 어렵다. 그런 마당에 몸을 낮춰 ‘성골, 진골은 아니다’라는 교회 자평이 낮춤의 겸손이라기 보다는 저간의 사랑의교회에 쏟아진 뭇 시선을 돌리는 변명 쯤으로 들리는 건 왜일까.

 따져보면 성골, 진골이나 육두품이나 모두 선택받았다는 ‘선민 의식(選民意識)’의 발로가 아닌가. 그리고 그 선민의 의식은 당연히 평신도와는 다른 목회자로서의 위상에서 생겨난다. 길 잃은 양에게 길을 인도하는 목자야 응당 존경받는 빛과 소금이다. 하지만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 또한 존재의 이유와 가치가 있다는 성경의 말씀을 염두에 둔다면 ‘선민’의 의식은 별로 존중받지 못하는 헤게모니의 한 축일 뿐이다. ‘만인에 의한 만인의 사제’라며 교회민주주의를 치켜세운 ‘만인사제(萬人司祭)’설도 있지 않은가. 그 옳지 못한 선민의 의식이 군림과 폭력의 시작이 아니었으면 한다.

순종의 강요보다 하느님 말씀에 충실한 복음 전파자가 절실
 성골, 진골, 육두품의 구분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오 목사의 구분 짓기를 거꾸로 해석하면 5두품, 4두품, 1두품의 교회는 훨씬 더 소중하고 복음의 가치에 충실한 ‘하느님의 집’일 것이다. ‘우리교회는 육두품 교회이다’ 그 모순의 발언이 더 생뚱맞고 머리를 흔들게 한다는 투의 반응들이 괜한 게 아닐듯 싶다. 가뜩이나 지금 우리 ‘하느님의 집’들에는 군림과 복종이 난무하는 판이다. 순종의 강요보다는 하느님의 말씀에 충실한 진짜 복음의 전파자가 절실하다고 한다.

 공교롭게도 골품제는 신라를 무너지게 만든 큰 이유 중 하나였다고 한다. “우리 교회는 강남에서 성골이나 진골이 아니라 6두품 교회다. 소외되고 가난한 사람이 많이 온다” ‘촉망받는 차세대 목회자’로 이름을 떨쳤던 오 목사는 왜 하필 신라를 뒤흔든 골품제를 입에 올렸을까.

 김성호 선임기자겸 논설위원 kimus@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