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2% 부족한 커피값 공개… 공정위에 낚였다?/임주형 경제부 기자

[오늘의 눈] 2% 부족한 커피값 공개… 공정위에 낚였다?/임주형 경제부 기자

입력 2012-08-07 00:00
업데이트 2012-08-07 01: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실무진이 왜 커피 값이 올랐는지를 들여다보고 있지 않겠습니까.”

김동수 공정거래위원장이 지난 5월 기자들과 만나 한 말이다. 스타벅스코리아가 아메리카노와 카페라테, 캐러멜마키아토 등 주요 제품의 가격을 300원씩 기습 인상한 직후였다.

당시 김 위원장의 발언은 끊이지 않는 커피전문점 가격 논란으로 인해 상당한 주목을 받았다. 주요 커피전문점에서 파는 아메리카노 기본 사이즈의 값은 2500~4500원. 김밥천국의 참치김밥(약 2500원)보다 비싸고 순두부찌개(4000원)와 맞먹는 값이다. 미국산 원두 10g(한 잔 분량)의 수입 원가가 123원(세전)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고 나면 많은 사람이 분개하는 게 바로 전문점들의 커피 가격이다.

이미지 확대
임주형 체육부 기자
임주형 체육부 기자
이런 국민적 의구심이 증폭되는 가운데 지난 5일 한국소비자원이 ‘스마트컨슈머’(www.smartconsumer.go.kr)에 게재한 것은 같은 브랜드의 커피전문점에서 같은 사이즈를 주문해도 용량이 천차만별이고, 일부 브랜드 커피는 매장이나 홈페이지에 공시된 정량보다 크게 적다는 사실이었다.

한국소비자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곡을 찌르지 못했다. “왜 커피가 김밥이나 순두부찌개만큼 비싸야 하는가.”라는 궁금증은 끝내 풀어주지 못한 것이다. 아메리카노 기본 사이즈는 이디야커피가 2500원으로 가장 싸고, 카페베네가 4500원(일부 지점)으로 가장 비싸다는 정보를 알려줬지만, 이는 일반인도 인터넷을 통해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는 내용이다.

소비자원과 공정위는 정확한 원가 산출이 불가능하며, 기업의 영업비밀이라 공개 시 법에 저촉된다는 입장이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조사를 시작하기 전 원가 분석도 고려했지만, 원두 가격뿐 아니라 상품개발 비용과 매장 인테리어 비용 등 감안해야 할 요소가 너무 많았다.”며 “결국 업체의 자료만 받아서 분석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고 해명했다. 공정위 관계자도 “원두만 하더라도 수입한 시기와 원산국에 따라 가격이 제각각”이라며 “컨슈머리포트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합리적인 소비를 유도하는 게 기본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가격 적정성을 따져보려는 최소한의 노력조차 하지 않은 것은 아쉬운 대목이다. 특히 공정위가 올해 소비자 보호 업무에 방점을 두고 있고, 소비자의 권익을 증진하는 공공기관인 소비자원이 조사에 나섰던 만큼 아쉬움은 더 크다. 지난해 우리 국민이 마신 커피는 총 232억잔. 커피전문점들은 불황에도 28%의 매출이 늘었다. 소비자원 조사 결과를 본 커피전문점들은 가격을 적정 수준으로 조정하기보다는 종업원에게 물을 정확히 따르라고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hermes@seoul.co.kr

2012-08-07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