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銀 “이란 수출입대금 이자 3%대로 인상”

기업銀 “이란 수출입대금 이자 3%대로 인상”

입력 2012-08-17 00:00
업데이트 2012-08-17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란측에 제안… 우리銀 뒤따를 듯

5조원에 이르는 수출입대금의 이자를 둘러싸고 이란 중앙은행(CBI)과 국내 은행들이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기업은행이 CBI의 요구대로 이자를 올려주는 쪽으로 잠정 결론을 내렸다. 이에 따라 양측의 갈등은 원만히 타결될 것으로 보인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16일 “제반 비용 등을 고려해 정기예금 금리 수준인 3% 안팎으로 금리를 올려준다는 데 내부 의견을 모았다.”면서 “이 같은 내용을 17일 이란 측에 제안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는 기존금리(0.1%)보다 30배가량 높은 것이어서 순이익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은행은 내부 조율이 진행 중이어서 아직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기업은행이 이미 CBI의 요구를 수용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만큼 이를 따를 것으로 보인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전체 금액에서 어느 선까지 3%대의 고금리를 적용할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면서 “시중에 떠도는 CBI의 계좌 이용 중단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부인했다. 이와 관련해 이란 측으로부터 어떤 통보도 받지 않았다고 부연 설명했다. 이번 갈등이 지속되면 양측 모두 타격을 받는다. 이란에 수출하는 국내 2600개 중소기업은 대금 결제에 차질이 생길 수밖에 없고, 이란도 원유 수출에 지장을 받는다.

기업은행과 우리은행의 이란 원화결제계좌에는 약 5조원이 예치된 것으로 알려졌다. CBI는 두 은행에 거액의 수출입대금을 예치했음에도 예금 이율이 연 0.1%에 지나지 않아 정기예금 금리인 3%대로 올리고, 예금 일부를 채권 매수 등에 이용하도록 요구했다. 그러나 두 은행이 개선 움직임을 보이지 않자 이란 측은 한국 정부에 다른 은행을 물색해 달라는 강경 카드를 꺼냈다. 특히 미국이 자국을 압박하는 분위기에 편승해 두 은행이 내심 이익을 취하려고 한 태도에 크게 서운해했다는 후문이다. CBI와 기업·우리은행 간 거래는 2010년 이란의 핵 개발 의혹에 따른 이란 제재 과정에서 비롯됐다. 한·이란은 미국의 제재를 피하기 위해 원화결제 계좌를 통한 거래에 합의했고, CBI는 기업·우리은행에 계좌를 개설했다. 두 은행은 무역 결제 용도였기 때문에 이 돈에 대한 금리를 0.1%로 정했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2012-08-17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