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대란 걱정”…태풍 볼라벤에 이통사 ‘비상’

“통신대란 걱정”…태풍 볼라벤에 이통사 ‘비상’

입력 2012-08-27 00:00
업데이트 2012-08-27 14: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4시간 비상체제 ‘돌입’…비상 배터리·발전 차량 점검

초강력 태풍 ‘불라벤(BOLAVEN)’이 27일 빠르게 북상하면서 이동통신사들이 태풍 피해를 막기 위한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이통사들은 태풍의 이동경로를 주시하는 한편 각 기지국에 대해 상시 모니터링 체제에 돌입했으며 수해 발생시 필요한 비상 장비에 대한 점검에도 나섰다.

SK텔레콤은 태풍 접근 소식이 전해진 지난 24일부터 태풍 상황을 24시간 모니터링하면서 기지국의 비상 배터리 등을 점검하며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이 회사는 정전에 대비해 전국 주요 지역에 배치 중인 50여대의 발전차량의 가동 상태를 점검하고 장비 수리 인원의 연락체계도 정비했다.

이 회사 관계자는 “태풍 경보가 발생하면 경기도 분당 사옥에 태풍대응상황실을 구축하고 각 기지국 시설에 대해서도 24시간 모니터링 체제를 운영할 것”이라며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KT 역시 26일 경기도 분당사옥에 재해대책상황실을 설치하고 태풍 소멸시까지 24시간 비상대기조를 운용하기로 하는 등 비상체제를 가동하고 있다.

경기도 과천사옥의 네트워크관제센터에서 네트워크 상황을 총괄 점검할 계획이며 각 지역별로도 상황실을 꾸려 취약시설 점검을 마무리하고 있다.

KT는 “정전이나 침수 상황에 대비해 비상발전기와 양수기, 예비 배전 보드 등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LG유플러스(U+)는 이날부터 사흘간 전국 일곱 개 네트워크 운영센터와 전국망 관리센터를 비상 상황실로 운영하기로 했으며 400여명의 네트워크 담당 직원도 비상 대기하도록 했다.

특히 이번 태풍이 강한 바람을 동반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기지국 파손에 대비해 복구자재와 복구 인원을 기지국에 배치하는 등 시설물 파손시 신속한 복구 체제를 구축했다.

이통사 관계자는 “태풍 피해 예방이 네트워크의 경쟁력을 입증할 수 있는 만큼 경쟁사에 비해 끊김없이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장비와 인력을 총동원해 비상체제를 가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