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원·인프라·양육수당 적정성 문제”
국회가 보육·양육 예산을 5천억원 가까이 늘려 올 3월부터 전 계층에 보육료와 가정양육수당을 지원하게 되자 시민단체들이 우려 섞인 목소리를 냈다.바른사회시민회의는 2일 논평을 통해 “2012년 떠들썩했던 보육 대란과 보육사업 중단위기를 지켜보고도 정치권은 선별복지로 돌아갈 기회를 걷어차 버린 셈”이라고 꼬집었다.
바른사회시민회의는 “만 0~5세 무상보육실시를 앞두고 지자체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 정부가 지자체 몫 7천억원 가운데 절반을 지원해주기로 했다”며 “이것이 나쁜 선례가 돼 복지사업마다 정부 곳간을 원칙없이 풀어야 할지도 모른다”고 주장했다.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이 우선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김은정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간사는 “보육지원 차원에서는 금전적인 지원도 필요하지만 국공립 어린이집 등 인프라 확충이 중요하다”며 “영유아의 90% 이상이 민간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큼 (보육료가 제대로 쓰이는지) 관리감독을 철저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간사는 또 “어린이집의 특별활동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표준보육비용 계산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남은경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회정책팀장은 “전 계층 보육·양육 지원은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양육수당의 적정성 문제가 있다”며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아동과 같은 수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양육수당을 올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공공형 어린이집은 보육의 질을 올릴 수 있을지 몰라도 특별활동비 등 부모의 부담은 줄일 수 없다”며 “공공성 강화를 위해 국공립 어린이집을 확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