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이즈네버댓’ 디자이너 3인방 박인욱·최종규·조나단 인터뷰
예전에는 패션 디자이너로 데뷔하는 일반적인 방법이 공부를 마치고 대형 브랜드나 업체, 디자이너 밑에 들어가 도제식으로 바닥부터 인지도를 쌓아 올리는 것이었다. 운이 좋으면 일찌감치 패션쇼에 서서 업계 관계자들과 소비자의 눈도장을 받기도 했지만, 세상에 자신을 알릴 유형의 공간이 필요한 것은 마찬가지였다.패션산업이 변화하면서 이런 공식이 깨지고 있다. ‘느낌이 있는’ 디자인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통해 입소문이 퍼지고 사람들이 먼저 알아보는 세상이 됐다. 소비자와의 소통을 무기로 성장한 토종 브랜드 ‘디스이즈네버댓’(THIS IS NEVER THAT)은 그 대표적인 예다. 삼성물산 패션부문의 제1회 ‘스몰 삼성패션디자인펀드’(sfdf)에서 우승하며 기성 패션 무대에 도전장을 내민 사람들을 만나 봤다.
최종규 디자이너
지난 18일 서울 마포구 서교동 디스이즈네버댓 사무실에서 만난 박인욱(34), 최종규(33) 디자이너는 “트렌드의 변화 속도가 점점 더 빨라진다고 하지만, 여기에 적응한다는 것은 결국 트렌드를 좇는 게 아닌 우리가 만들고 싶은 옷에 대한 고집을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이후 서울시의 신인 디자이너 창업 지원 프로그램 ‘서울패션센터’의 도움을 받아 브랜드를 키워 나갔다. 현재는 삼성물산 패션부문이 운영하는 편집매장 ‘비이커’를 비롯해 LF의 ‘어라운드더코너’, 온라인 대형 편집매장 ‘무신사’, ‘더블유컨셉’ 등 온·오프라인 매장에 두루 둥지를 틀고 있다.
특히 10대 후반부터 20대까지 젊은층을 중심으로 SNS에서 인기를 끈 게 브랜드가 성장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은 주 고객층인 SNS 세대와 소통하는 일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박씨는 “어떤 콘텐츠를 올릴 것인가에 대한 고민뿐 아니라 누가, 몇 시에 게시물을 올리는 게 가장 유효할 것인지까지 분석해 계획적으로 SNS를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디스이즈네버댓은 현재 SNS 채널인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인스타그램의 팔로어가 6만 5000명에 이른다. “지금의 SNS는 단순히 정보를 공유하거나 친목을 다지는 공간이 아니라 자신의 정체성을 대변하는 곳이잖아요. 그래서 저희는 더더욱 그 공간에 올라가는 이미지를 만드는 데 공을 많이 들입니다. SNS의 콘텐츠가 전달하는 인상이 모여 저희의 얼굴이 되니까요.”
실제로 지난달 삼성물산 패션부문이 진행하는 제1회 sfdf에서 최종 우승을 거머쥐는 데도 SNS에 능숙한 강점이 십분 빛을 발했다. sfdf는 이례적으로 최종 심사 단계에 온라인 대중투표 제도를 도입했는데, 여기서 압도적인 점수를 얻은 것이다.
sfdf는 국내 패션업계 지원을 위해 1억원을 투자해 올해 신설한 프로젝트다. 2005년부터 삼성물산이 진행해 온 삼성패션디자인펀드(SFDF)의 연장선인 셈이다. 기존의 의류 브랜드에서 가방, 신발 등 패션잡화와 생활용품 브랜드까지 대상을 확대했다. 전문가들의 심사를 거쳐 최종 10곳의 후보가 선정되면 온라인 투표 등 대중 참여형 심사를 거쳐 우승자를 선정한다. 1등부터 3등까지 모두 6곳의 우승팀에는 1000만~3000만원의 상금이 주어지고, 1위에게는 서울패션위크 진출 혜택도 제공된다. SSF몰, 비이커 등 삼성물산 온·오프라인 판매채널 입점의 기회도 생긴다.
이미 대중적인 인기를 얻으며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한 이들이지만 sfdf 우승과 서울패션위크 진출은 또 다른 도전이라고 말했다. 박씨는 “디스이즈네버댓의 소통 과정에 익숙지 않은 새로운 영역의 사람들에게도 우리의 정체성을 알릴 수 있는 기회”라면서 “대중적인 시장에서는 섣불리 할 수 없었던 실험적인 디자인을 선보이며 스스로도 한계를 뛰어넘고 싶다”고 말했다.
“얼마 전 명품 디자이너 브랜드 ‘루이비통’과 스트리트 브랜드 ‘슈프림’의 컬래버레이션(협력)이 세계 패션업계에서 큰 화제가 됐어요. 하이패션과 대중문화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는 시기입니다.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변화의 시기라고들 하지만 그만큼 시도할 수 있는 것이 아직 많다는 생각에 오히려 기대가 됩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17-07-3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