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로 40% 감소 뒤 13% 늘어 주목
3월 생산·소비·투자 ‘트리플 회복세’경기 회복세에도 고용 상황은 더 악화
실업률 0.4%P↑ 4.5%… 청년 11.6%
명동 거리에 늘어난 유커
지난달 중국인 관광객 수가 13개월 만에 처음으로 증가한 가운데 13일 서울 중구 명동 거리를 찾은 한 중국인 관광객이 관광통역안내사에게 길을 묻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기획재정부는 13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우리 경제는 수출 호조 등에 힘입어 경기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중국인 방문객 증가는 회복 조짐을 보이는 내수 경기에 불쏘시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소비 동향을 보여 주는 2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1.0% 늘었다. 백화점과 할인점의 3월 매출도 전년 같은 달보다 각각 5.5%, 14.9% 증가하고 신용카드 승인액도 1.2% 늘어났다.
또 2월 설비투자는 운송장비를 중심으로 전월보다 1.3% 늘어나 4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다. 2월 광공업 생산은 자동차·반도체 생산 확대에 힘입어 2개월 연속 증가했으며 전산업 생산 역시 전월과 같은 수준을 나타냈다.
문제는 고용이다. 경기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일자리 사정은 오히려 악화됐기 때문이다. 3월 취업자 증가 폭은 11만 2000명으로 2월(10만 4000명)에 이어 2개월 연속 10만명대를 맴돌았다. 취업자 증가 폭이 두 달 연속 10만명선에 그친 것은 2016년 4~5월에 이어 23개월 만이다. 전체 실업률은 4.5%로 1년 전보다 0.4% 포인트, 청년 실업률은 11.6%로 0.3% 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고용 없는 성장’이 고착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정부는 “경제 회복세가 일자리, 민생 개선을 통해 체감될 수 있도록 2018년 경제정책방향 및 청년일자리대책, 2단계 지역대책 등 정책 노력을 가속화하겠다”고 밝혔다.
세종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8-04-14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