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가구의 자산에서 주택이 차지하는 비중이 75.1%로 조사됐다. 또 열 명 중 세 명은 보유주택을 자녀에게 물려줄 의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주택금융공사는 노년층의 노후생활 실태 파악 등을 위해 ‘주택연금 수요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 7월 18일부터 9월 5일까지 주택을 소유한 노년가구(만 60~84세) 2700가구와 예비 노년가구(만 55~59세) 300명, 주택연금을 이용 중인 1200가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노년가구 중 주택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역별로 ▲서울 85.2% ▲경기 81.6% 등 수도권이, 지방도시 64.4%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들 중 21.0%는 임대보증금이나 주택담보대출 등의 형태로 채무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9억원 이상 주택을 가진 가구 중 50.9%는 ‘채무가 있다’고 답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한국주택금융공사는 노년층의 노후생활 실태 파악 등을 위해 ‘주택연금 수요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 7월 18일부터 9월 5일까지 주택을 소유한 노년가구(만 60~84세) 2700가구와 예비 노년가구(만 55~59세) 300명, 주택연금을 이용 중인 1200가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노년가구 중 주택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역별로 ▲서울 85.2% ▲경기 81.6% 등 수도권이, 지방도시 64.4%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들 중 21.0%는 임대보증금이나 주택담보대출 등의 형태로 채무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9억원 이상 주택을 가진 가구 중 50.9%는 ‘채무가 있다’고 답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8-12-19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