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미혼 인구·노동 공급 분석
10년 새 미혼 9%P↑고용 0.3%P↓30년 뒤 미혼 인구 절반 확대 땐
2031년부터 경제활동률 꺾일듯
저학력男·고학력女 미혼율 높아
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미혼 인구 증가와 노동 공급 장기 추세’에 따르면 평생 결혼하지 않는 인구의 비중을 의미하는 ‘생애미혼율’이 2013년 약 5%에서 2023년 14%로 상승하는 사이 노동 공급에 실질적인 영향을 주는 핵심 연령층(30~54세)의 고용률은 0.3% 포인트, 주당 근로시간은 0.1시간 감소했다. 15세 이상 인구의 미혼율은 2000년 27.9%에서 2020년 31.1%로 20년 사이 3.2% 포인트 증가했다. 같은 기간 남성은 31.7%에서 36.0%로, 여성은 24.4%에서 26.3%로 뛰었다.
혼인 여부와 경제활동 간의 상관관계는 성별에 따라 엇갈렸다. 기혼 남성의 2013~2023년 평균 경제활동 참가율과 고용률이 미혼 남성보다 각각 13% 포인트, 16% 포인트 높았다. 반면 같은 기간 기혼 여성의 평균 경제활동 참가율과 고용률은 미혼 여성보다 각각 19% 포인트, 16% 포인트 낮았다. 그럼에도 지난 10년간 미혼 인구가 늘어 여성의 노동 공급이 증가한 것보다 남성의 노동 공급이 줄어든 영향이 커 전체 노동 공급이 줄었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장기적으로는 혼인율이 낮아지고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가 확대될수록 출산율이 떨어져 미래의 노동 공급은 지속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현재의 성별·연령별 경제활동 참가율 추세가 지속될 경우 2020년 79.1%였던 30~54세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2035년 80.1%로 정점을 찍은 뒤 2040년 80.0%로 하락할 것으로 관측됐다.
반면 30년 뒤 미혼 인구의 비중이 현재의 2배 수준(남성의 60%·여성의 50%)으로 확대될 경우 경제활동 참가율은 이보다 4년 앞선 2031년 79.7%로 정점을 찍은 뒤 2040년 79.3%로 가파르게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보고서는 “혼인율을 높이는 것뿐 아니라 미혼 인구의 특성에 맞게 원격근무와 유연근로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도구 활용, ‘워라밸’ 중시 등 ‘MZ세대’가 요구하는 근로 환경으로의 변화가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성별 미혼율을 학력에 따라 살펴보면 남성은 저학력(전문대졸 이하)일수록, 여성은 고학력(4년제 대졸 이상)일수록 결혼을 하지 않는 경향이 뚜렷했다. 남성은 저학력자의 미혼율(30.9%)이 고학력자(27.4%)에 비해 높은 반면, 여성은 고학력자(28.1%)의 미혼율이 저학력자(15.9%)의 두 배에 가까웠다.
2024-01-09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