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도시 집값 0.01%↓… 전셋값은 올라

서울·신도시 집값 0.01%↓… 전셋값은 올라

입력 2012-11-05 00:00
업데이트 2012-11-0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매매 가격은 내리고 전셋값은 오른 지난 한 주였다. 가을 이사철이 마무리되면서 매매는 적었고 전세 계약의 물량도 적었다. 서울과 신도시의 집값은 0.01% 하락했으나, 전셋값은 0.01% 올랐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급매 가격이 일반 매매 가격이 되고 있다.”면서 “전셋값은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큰 움직임이 없다.”고 전했다.

지난주 서울 동작구는 급매물 위주로 매매가 이뤄지기는 했지만 거래가 많지는 않았다. 상도동 삼성래미안2차 133㎡는 3000만원 내린 6억 1000만~6억 9000만원에 물건이 나와 있다. 본동 신동아 126㎡는 3000만원 하락해 4억 8000만~5억 5000만원에 가격이 형성됐다. 노원구도 마찬가지다. 매물 거래가 없고 매수세도 없어 시세가 하락했다. 월계동 현대 109㎡는 1000만원 내린 3억 6000만~3억 9000만원이고 중계동 라이프 139㎡는 1000만원 내린 5억 8500만~7억 500만원이다. 영등포구 여의도동 진주 85㎡는 2000만원 내린 6억 5000만~7억 2000만원에 매물이 있다.

전세는 송파와 강동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나타났다. 재개발이 본격화되면서 이주 수요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송파동 삼성래미안 119㎡는 500만원 오른 3억 4500만~3억 9500만원에 전세를 구할 수 있다. 잠실동 리센츠 109㎡는 1000만원 오른 4억 6500만~5억 3000만원에 가격이 형성됐다. 강동구 둔촌동 푸르지오 111㎡는 1500만원 오른 3억 1500만~3억 4000만원에, 암사동 대원 115㎡는 500만원 오른 2억 5000만~2억 7000만원에 계약이 이뤄지고 있다.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2012-11-05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