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셋값 폭등에… “차라리 집 사자”

전셋값 폭등에… “차라리 집 사자”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20-11-05 20:44
업데이트 2020-11-06 03: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1월 첫째 주 집값 0.17%↑ 오름폭 커져
서울 0.02% 올라 17주만에 상승폭 확대
지방 0.23%↑ 2012년 6월 이후 최고
서울 전셋값 71주 연속 상승 전세난 확산

이미지 확대
서울 아파트 전셋값 매매값 변동
서울 아파트 전셋값 매매값 변동
전셋값 폭등으로 ‘차라리 집을 사자’는 수요가 늘면서 전셋값과 함께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 폭이 커졌다.

한국감정원은 11월 첫째 주(2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값은 0.17% 상승해 지난주(0.13%)보다 오름폭이 커졌다고 5일 밝혔다. 올해 6·17 부동산 대책 발표 직후인 6월 넷째 주(0.22%) 이후 4개월여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전세수급 불안으로 전세를 구하지 못한 세입자들이 중저가 주택 매수로 돌아서며 전국적으로 집값이 올랐다는 분석이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17주 만에 다시 상승폭이 확대됐다. 이번 주 0.02% 올라 최근 10주 연속 0.01% 상승을 유지했던 보합세를 벗어났다. 중저가 아파트가 많은 외곽 지역을 중심으로 많이 올랐다. 25개 구 가운데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중랑구는 이번 주 0.08% 올라 2018년 10월 첫째 주(0.10%) 이후 2년 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강북구(0.03%), 노원구(0.03%)도 상대적으로 상승폭이 컸다. 지방 아파트값은 이번 주 0.23% 올라 감정원이 관련 조사를 시작한 2012년 6월 이후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특히 경기도에서는 서울 출퇴근이 가능한 데다 비규제 지역으로 남은 김포시의 아파트값이 1.94%나 폭등해 시장 과열 신호가 켜졌다. 실제 지난 9월 26일 5억 2200만원(5층)에 매매됐던 김포 걸포동 오스타파라곤2단지 전용 119㎡가 지난달 24일에는 6억 7000만원(12층)에 거래돼 한 달 새 1억 2000만원 급등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71주 연속 상승한 가운데 전세난이 전국으로 확산하고 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10%에서 0.12%로 오름폭을 키웠다. 특히 송파(0.21%)·서초(0.20%)·강남(0.19%)·강동(0.18%) 등 강남4구가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며 임대차보호법 시행 직후 급등했던 8월 초 상승률에 근접한 양상을 보였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전주(0.22%)보다 0.01% 포인트 오른 0.23%로 60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 가고 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20-11-06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