풋내기 행원도 현장 적발 시스템…최근 3년간 발생 건수 80% 뚝
지난 9일 낮 12시쯤 전남 지역의 한 농협은행에 60대 남성이 찾아왔습니다. 입사한 지 2개월밖에 안 되는 수습계장 강모씨는 웃으면서 고객을 맞았지요. 고객은 오전에 입금한 1200만원을 현금으로 찾겠다고 말했습니다. 그 순간 강 계장은 연수 때 교육받은 사기계좌의 거래 패턴과 일치한다는 것을 직감했습니다. 통장을 단말기에 넣고 금액을 입력하자 ‘금융사기 피해금일 가능성에 유의하라’는 메시지가 떴습니다. 강 계장은 매뉴얼대로 전화사기대응팀에 계좌 확인 요청을 하는 동시에 고객에게 용도와 경위를 물으며 경찰 신고를 유도했습니다. 알고 보니 이 고객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 금융사기에 연루돼 인출책이 돼 있었습니다.
이렇게 해서 농협은행이 지난해 피해를 막은 금액은 87억 6400만원. 통장 발급이 깐깐해지면서 불편을 토로하는 고객이 많아진 것도 사실입니다. 대포통장이 줄었다고 방심해서는 안 됩니다. 끊임없이 신종 수법이 나타나고 있으니까요. 손동섭 농협은행 소비자보호부장은 “저축은행이나 캐피탈을 사칭하며 저금리 대출을 해주겠다고 통장사본과 비밀번호를 요구하거나 돈을 입금하라고 하면 무조건 의심하라”고 말했습니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7-03-16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