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 채권단 “박삼구案 일부 수용”

금호타이어 채권단 “박삼구案 일부 수용”

최선을 기자
입력 2017-07-07 23:06
업데이트 2017-07-07 23: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상표권 사용 요율 年 매출액 0.5%, 기간 150개월로 수정… 최후통첩성

금호타이어 채권단이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이 제안한 상표권 사용 방식을 ‘일부 수정’해 전격 수용했다. 이에 따라 지지부진하던 금호타이어 매각 작업이 속도를 낼지 주목된다. 산업은행 등 채권단은 7일 회의를 열고 금호산업에 제안할 금호타이어 상표권 사용 조건으로 상표권 요율은 연 매출액의 0.5%, 사용기간은 12년 6개월(150개월)로 확정했다. 채권단 관계자는 이날 “만약 박 회장 측이 이번에도 제안을 거부하면 박 회장 해임을 포함해 다양한 대책을 고려할 것”이라고 압박했다. 채권단은 이번에 결정 마감시한을 제시하지 않아, 금호그룹이 임시 이사회를 언제 열지 알 수 없다.

채권단은 “금호타이어의 미래를 위해서 현행 매각절차를 종결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판단해 채권단이 847억원의 차액을 보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우선협상대상자인 더블스타는 앞서 상표권을 5년간 의무적으로 사용하고 이후 15년간은 중도해지 조건으로 매출액의 0.2%를 상품권 요율로 책정해 달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박 회장 측은 상표권 요율 0.5%, 의무사용 20년(중도 해지 불가) 조건으로 맞받아쳤다.

채권단은 이날 금호타이어의 2016년 경영평가 등급을 D로 확정했다. 2년 연속 D등급 이하를 받은 만큼 채권단은 회사의 경영진을 교체하거나 해임권고할 수 있다.

금호그룹 관계자는 “조만간 금호산업 이사회를 열고 입장을 정할 것”이라고 답했다. 재계에선 금호그룹이 중재안을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상표권 요율이 0.2%에서 0.5%로 높아지면 금호산업이 받는 상표권료는 연간 60억원에서 150억원으로 90억원이 는다. 재계 관계자는 “실익이 큰 만큼 금호가 거부할 명분이 없고 중재안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배임’이 될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박 회장 측이 중재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가능성도 없지 않다. 상표권 의무 사용기간 등 세부 조건이 당초 그룹이 제시한 것과 차이가 있고 박 회장이 금호타이어 매각이 부당하다고 공개적으로 여러 차례 밝힌 탓이다. 다른 재계 관계자는 “상표권료 쟁점은 인수전을 방해하기 위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7-07-08 1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