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파행 운영 영어마을 출구전략 찾아야

[사설] 파행 운영 영어마을 출구전략 찾아야

입력 2012-08-17 00:00
업데이트 2012-08-1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7~8년 전, 지방자치단체마다 우후죽순처럼 만든 영어마을이 경영난을 못 이겨 애물단지로 변했다고 한다. 현재 13개 광역 시도에 32곳의 영어마을이 있지만, 당초 취지대로 운영하는 곳은 부산글로벌빌리지 등 한두 곳에 불과하다. 만성 적자를 벗어나기 위해 지자체 직영에서 민간으로 경영을 넘긴 영어마을이 수두룩하다. 심지어 돈벌이 때문에 피서객 캠핑장으로 개방한 곳도 있다. 최근에는 사설학원으로 바뀐 곳과 폐업하는 곳도 나오기 시작했다고 한다.

혈세를 수백억원씩 들여 조성한 영어마을이 불과 10년도 안 되어 이 지경에 이른 것은 안타깝다. 이는 앞뒤를 재지 않은 단체장들의 정책 베끼기 경쟁과 선심성에 기인한 것으로, 그들의 책임이 작지 않다. 물론 영어마을 조성 바람이 불던 당시는, 뱃속 아이에게 영어테이프를 태교 삼아 들려주고 어린 아이의 혀수술까지 하던 극성스러운 세태였다. 영어 사교육 비용과 해외 조기유학 등의 폐해가 워낙 컸던 터라 상당한 사회적 공감대도 있었다. 그러나 초창기 영어마을들이 인기를 얻자 지자체들은 너도나도 벤치마킹에 나섰고, 결과적으로 공급과잉으로 이어졌다. 부실한 교육프로그램과 동남아·호주 등 해외연수보다 비싼 비용 탓에 활용도는 갈수록 떨어져 적자에 시달렸다. 그러니 무리하게 수익사업에 나섰을 테고, 급기야 캠핑장과 오락시설 등으로 변질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영어마을은 시설 면에서 교육의 장으로 손색이 없다. 초중고·교육당국 등과 긴밀히 협조해 공교육의 보완적 기능을 살려야 한다. 대학생과 직장인들을 위한 프로그램도 적극 모색해 저렴한 비용으로 해외연수 이상의 효과를 내도록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 지금처럼 본연의 역할과 다른 파행 운영으로 적자 메우기에 급급할 바에야 차라리 출구전략이라도 잘 짜야 한다. 시도 간 협조를 통한 통폐합 운영도 한 방법이라고 본다.

2012-08-17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