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오염 및 재난감시 등 사용
일반적으로 드론이라고 부르는 공중에서 이동하는 회전익 드론은 바다나 호수 등 수면과 접촉할 경우 고장이나 충격에 의한 파손이 발생하고 수상에서 이착륙이 불가능하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공중과 수중 동시 탐사가 가능한 ‘수공양용 드론’이다.이 드론의 가장 큰 장점은 목적지까지 빠른 이동과 공중에서 감시, 정찰 그리고 수면상 착륙 및 이동은 물론이고 다시 사용자가 원하는 수중탐사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선박에 의한 이동, 잠수부나 수중장비를 이용한 일련의 탐사 활동을 하나의 장비로 수중과 공중에서도 가능하도록 만들어 시간과 비용 면에서 효율성을 갖추게 됐다.
수공양용 드론은 부력장치가 장착된 수중몸체와 공중 이동을 위한 비행장치의 결합체이다. 비행장치에 의한 공중 이동과 부력장치 및 수중몸체 후면의 추진 장치에 따른 수면에서의 임무수행이 가능하다. 수상 이동과 음성부력을 조절해 잠수에 의한 수중탐사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사전 입력된 임무에 따라 수중작동은 물론 수면에서의 이륙과 귀환이 가능하도록 설계돼 있다. 추가되는 다양한 기능의 장착 센서에 따라 공중, 수상, 수중 탐사 임무가 다양해질 수 있다.
수심 3~4m까지 가능한 수중통신 기능을 강화하고, 수중 200m까지 잠항할 수 있는 수중글라이더나 수중 무인이동체의 장점을 접목시킨다면 녹조·적조 관측, 해양오염 조사, 긴급 재난 상황 등 활용분야는 더욱 다양해질 것이다.
2020-10-06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