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청재 반룡(蟠龍)장식 먹[墨] 항아리, 조선 19세기, 높이 4.3㎝,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장남원 이화여대 미술사학과 교수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우리 보통의 삶 속에서 용은 이리저리 불려 다니곤 한다. 미꾸라지처럼 외모가 별로였던 친구가 준수한 모습으로 나타나면 ‘용 됐다’ 하고 의지나 열정이 끓어오르는 기세를 ‘용솟음친다’고 한다. 들판이나 망망대해에서 거칠 것 없이 회오리쳐 오르는 기상현상을 보면 ‘용오름’이라 하며 수백 년 묵어 늙고 영물이 된 사직단 소나무의 둥치에서는 ‘용틀임’을 떠올린다. 높은 산 계곡의 바위를 치고 떨어지는 세찬 물줄기에서도 우리는 용을 상상하고, 아직은 그 재능을 드러내지 못했지만 언젠가 본색을 드러낼 인재를 ‘잠룡’이라 격려해 왔다. 잉어도 수면을 박차고 힘차게 튀어 오르면 하늘에 올라 용이 될 수 있다 믿었고 조촐한 마당 한쪽에 포도나무를 심어 가꾸며 그 넝쿨이 줄기차게 자라 싱싱한 다섯 갈래 잎에 영롱한 열매를 맺는 것을 보면서 ‘초룡’(草龍)이라 애호했다.
조선 후기에 푸른색 안료를 백자 전체에 발라 장식한 먹물 항아리를 보자. 그 위에는 겨우 새끼손가락만 한 도롱뇽을 만들어 붙였다. 한낱 양서류를 ‘반룡’(蟠龍)이라 부르며 벼루, 먹 등과 함께 책상 위에 두고 어루만지며 사용했던 것이다. 비현실적인 존재로서가 아닌 일상의 친숙하고 현실적인 형상이다. 용은 이미 우리 곁에 작고 소박한 모습으로 깃들여 있었다.
2024-01-23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