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금융시장의 관심이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시기에 쏠린 가운데 미국 연방준비은행 총재들이 잇따라 올해 내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자산매입 규모 축소가 시작될 수 있다고 밝혀 주목된다.
찰스 에번스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6일(현지시간) 기자들에게 “경제 성장률이 올해 하반기에 2.5%로 높아지고 내년에 3%를 넘어설 것”이라면서 “이런 전망대로 경제가 성장하면 연준은 올해 하반기부터 양적완화 규모 축소를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확한 양적완화 축소 시기에 대해 “알 수 없다”고 밝힌 에번스 총재는 “자산 매입 규모를 줄이려면 경제 성장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는 더 강력한 증거와 경기 회복 모멘텀이 필요하다”면서 “(양적완화 축소) 시기가 멀지 않았다”고 예상했다.
그는 양적완화 중단 시기에 대해서는 “실업률이 7%로 떨어지면 가능할 것으로 본다”면서 “내년 중반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에번스 총재는 연준 내에서 양적완화를 지지하는 ‘비둘기파’로 분류되고 의결권을 갖고 있다.
데니스 록하트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도 이날 “양적완화 축소가 올해 남은 세 차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 회의에서 시작될 수 있다”고 밝혔다.
올해 남은 FOMC 정례 회의는 9월과 10월, 12월에 있으며 9월과 12월 회의 이후에는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의 기자회견이 예정돼 있다.
이들에 앞서 리처드 피셔 댈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지난 5일 “실업률을 고려할 때 양적완화 축소 시점이 더 가까워졌다”면서 지난주에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자신이 다른 위원들에게 “이번 가을에 행동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소개했다.
그는 가을이 9월 FOMC 회의인지, 10월 회의인지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오는 7일에는 찰스 플로서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장과 샌드라 피아날토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장의 연설이 예정돼 있다.
연합뉴스
찰스 에번스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6일(현지시간) 기자들에게 “경제 성장률이 올해 하반기에 2.5%로 높아지고 내년에 3%를 넘어설 것”이라면서 “이런 전망대로 경제가 성장하면 연준은 올해 하반기부터 양적완화 규모 축소를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확한 양적완화 축소 시기에 대해 “알 수 없다”고 밝힌 에번스 총재는 “자산 매입 규모를 줄이려면 경제 성장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는 더 강력한 증거와 경기 회복 모멘텀이 필요하다”면서 “(양적완화 축소) 시기가 멀지 않았다”고 예상했다.
그는 양적완화 중단 시기에 대해서는 “실업률이 7%로 떨어지면 가능할 것으로 본다”면서 “내년 중반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에번스 총재는 연준 내에서 양적완화를 지지하는 ‘비둘기파’로 분류되고 의결권을 갖고 있다.
데니스 록하트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도 이날 “양적완화 축소가 올해 남은 세 차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 회의에서 시작될 수 있다”고 밝혔다.
올해 남은 FOMC 정례 회의는 9월과 10월, 12월에 있으며 9월과 12월 회의 이후에는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의 기자회견이 예정돼 있다.
이들에 앞서 리처드 피셔 댈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지난 5일 “실업률을 고려할 때 양적완화 축소 시점이 더 가까워졌다”면서 지난주에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자신이 다른 위원들에게 “이번 가을에 행동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소개했다.
그는 가을이 9월 FOMC 회의인지, 10월 회의인지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오는 7일에는 찰스 플로서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장과 샌드라 피아날토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장의 연설이 예정돼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