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 스캔들’ 수사 중단을 지시했다고 폭로한 제임스 코미 전 미 연방수사국(FBI) 국장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대화 내용을 기록한 이른바 ‘코미 메모’를 자신의 친구인 대니얼 리치맨 컬럼비아대 로스쿨 교수에게 건넸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기밀 정보를 유출했다며 코미 전 국장을 강하게 비난했다.
하지만 리치맨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그는 10일(현지시간) CNN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나는 ‘기밀’이라고 찍힌 정보를 건네받지도 않았다”면서 “또 뉴욕타임스에 이 메모를 건네지도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리치맨 교수는 “뉴욕타임스에 건넨 코미 메모의 내용에는 기밀 마크가 없었고, 내가 아는 한 지금도 기밀로 분류돼 있지 않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은 틀린 것”이라고 맞받아쳤다.
코미 전 국장은 지난달 8일 미 상원 정보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코미 메모’를 남긴 이유를 자세히 설명한 적이 있다. 당시 그는 “솔직히 우리 만남(트럼프 대통령과의 만남)의 성격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거짓말을 할 수 있다는 우려를 했다. 기록을 남기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했다”면서 “나는 나와 FBI를 방어하기 위해 기록을 해야 하는 날이 올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 메모는 지난해 대선 당시 트럼프 캠프와 러시아 당국 간의 내통 의혹 수사를 지휘하다가 전격으로 경질된 코미 전 국장이 트럼프 대통령과의 독대 시 ‘수사중단’ 압력을 받았다는 내용을 적은 메모로, 그는 이 메모를 리치맨 교수를 통해 언론에 공개했다.
보수 성향의 폭스뉴스는 이날 내부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코미 메모 중 일부에 ‘3급 비밀’ 또는 ‘2급 비밀’이라고 적혀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곧바로 트위터에 “제임스 코미는 언론에 기밀정보를 유출했다. 그것은 매우 불법적!”이라고 적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증언하는 제임스 코미 전 FBI 국장
제임스 코미 전 미국 FBI 국장이 지난달 8일(현지시간) 미국 의회 상원정보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충성 맹세를 요구했다는 증언을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이어 리치맨 교수는 “뉴욕타임스에 건넨 코미 메모의 내용에는 기밀 마크가 없었고, 내가 아는 한 지금도 기밀로 분류돼 있지 않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은 틀린 것”이라고 맞받아쳤다.
코미 전 국장은 지난달 8일 미 상원 정보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코미 메모’를 남긴 이유를 자세히 설명한 적이 있다. 당시 그는 “솔직히 우리 만남(트럼프 대통령과의 만남)의 성격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거짓말을 할 수 있다는 우려를 했다. 기록을 남기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했다”면서 “나는 나와 FBI를 방어하기 위해 기록을 해야 하는 날이 올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 메모는 지난해 대선 당시 트럼프 캠프와 러시아 당국 간의 내통 의혹 수사를 지휘하다가 전격으로 경질된 코미 전 국장이 트럼프 대통령과의 독대 시 ‘수사중단’ 압력을 받았다는 내용을 적은 메모로, 그는 이 메모를 리치맨 교수를 통해 언론에 공개했다.
보수 성향의 폭스뉴스는 이날 내부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코미 메모 중 일부에 ‘3급 비밀’ 또는 ‘2급 비밀’이라고 적혀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곧바로 트위터에 “제임스 코미는 언론에 기밀정보를 유출했다. 그것은 매우 불법적!”이라고 적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