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사업가 선점한 상표권 돌려줘…호텔 체인·보험 등 中 사업 탄력
오는 4월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방미를 추진 중인 중국이 38개의 ‘트럼프 신(新)상표’에 대해 전격적으로 예비승인을 내줬다고 AP통신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로써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일가가 중국에서 대대적인 사업을 벌일 터전이 마련됐으나 트럼프 대통령 당선 전부터 제기됐던 대통령직 수행과 개인 사업 간의 ‘이해 상충’ 논란이 다시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트럼프 그룹을 대변하는 변호사들은 지난해 4월 호텔 체인과 보험, 보디가드, 마사지, 에스코트 서비스 등의 비즈니스 관련 38개 상표에 대한 등록을 중국에 신청했다.
3개만 제외하면 모두 ‘트럼프’라는 이름이 들어간 상표다. 중국 상표 당국은 지난달 27일 이들 상표에 대한 예비승인을 내줬다. 이 상표들은 특별한 반대에 부닥치지 않으면 90일 안에 공식 상표로 등록된다. 홍콩 지적재산권 자문사 사이먼 IP서비스의 댄 플레인 이사는 “이처럼 많은 상표가 신속하게 승인된 사례는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트럼프 측은 지난 10년간 중국에서 트럼프 상표권을 취득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성과를 보지 못했다. 그의 이름으로 된 상표권은 부동산 인테리어업자인 둥웨이가 트럼프 대통령보다 2주 앞선 2006년 12월 신청해 인정을 받았다. 하지만 중국이 이번에 이 상표권을 트럼프 측에 돌려준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이익을 보존해 주면서 향후 미국과의 관계에서 유리한 입장을 차지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상표 등록으로 미국과 중국 간의 관계는 더욱 복잡해졌다고 파이낸셜타임스는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겉으로는 중국을 두고 환율조작국에 미국의 일자리를 뺏는 국가라고 비난하며 중국과 대립각을 세워 왔다.
‘이해충돌’ 우려도 심화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럼프 그룹과 관련한 자신의 지분을 ‘백지신탁’하고 사업체를 자녀에게 넘기겠다고 약속했다. 그렇지만 이런 사업이 정부정책 등과 완전히 무관할 수 있느냐는 지적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중국에서 70개의 등록 상표를 보유하고 있으나 재임 기간에는 신규 해외 사업을 추진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미 상원 외교위원회 민주당 간사인 벤 카딘 의원은 “중국은 미국 대통령과의 개인적인 사업 관계를 통해 그 뒤에 얻을 수 있는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딸 이방카의 인기가 중국에서 치솟으면서 ‘이방카’ 이름을 딴 상표 등록이 쏟아지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가 이날 보도했다. 모두 258건에 이르는 이방카 이름 관련 상표는 다이어트 약부터 통조림, 꿀, 소파, 매트리스 등 모든 상품 분야를 총망라한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2017-03-10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