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로켓보다 비용 줄인 ‘엡실론’ 군사전용 우려
일본이 자체 개발한 신형 고체연료 로켓 ‘엡실론’ 발사에 지난 14일 성공했다.JAXA와 일본 기업 IHI 에어로스페이스가 205억엔(약 2234억원)을 들여 공동 개발한 엡실론은 전체 길이 24.4m, 지름 2.6m, 무게 91t의 3단 고체연료 로켓으로 1.2t짜리 소형 위성을 지구를 도는 궤도에 올려놓을 수 있다.
엡실론은 과학 위성용으로 개발된 기존 고체연료 로켓인 M5의 후속 모델인데, M5는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자랑했다. 하지만 발사 비용이 75억엔으로 너무 높아 실용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1997년 2월 첫 발사 이후 9년 만인 2006년 9월 마지막 발사를 끝으로 사업이 중단됐다. 이후 JAXA는 차기 모델인 엡실론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비용절감과 효율화를 추구했다.
엡실론에 쓰인 고체연료 기술은 기본적으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기술과 동일하기 때문에 군사전략적 의미도 적지 않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김경민 한양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일본은 오래전부터 ICBM 능력을 확보하고 있다”면서 “가볍고 돈이 적게 드는 고체연료 로켓인 엡실론은 양산체제에 적합한 모델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도쿄 김민희 특파원 haru@seoul.co.kr
2013-09-16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