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세기 초반 신라 목간 대구서 출토…신라 서쪽 방어 전초기지였나

7세기 초반 신라 목간 대구서 출토…신라 서쪽 방어 전초기지였나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1-04-28 18:46
업데이트 2021-04-28 18: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팔거산성에서 목간 11점 발견, 대구 지역에선 처음
백제 침공 맞서 신라 왕경 서쪽 방어 전초기지 가능성

대구 팔거산성 출토 신라 목간. 문화재청 제공
대구 팔거산성 출토 신라 목간. 문화재청 제공
7세기 초반 신라 목간(木簡) 11점이 대구 지역에서 처음으로 출토됐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28일 대구시 북구 노곡동에 자리한 팔거산성에서 발견된 목간 11점을 공개하고, 기초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목간은 종이가 발명되기 이전에 문서나 편지 등을 기록하는 데 사용되던 목편이다.

신라의 지방 유적에서 목간이 출토된 사례는 인천 계양산성, 경기 하남 이성산성, 경남 함안 성산산성 등이 있다. 2019년 11월 대구 인근 경산 소월리에서도 6세기 신라 토지 관련 목간이 발견됐지만 대구에선 처음이다.

연구소가 색깔 촬영과 적외선 촬영을 바탕으로 두 차례 판독 자문회의를 진행한 결과 11점 가운데 7점에서 글자 또는 글자의 흔적이 확인됐다. 특히 4점의 목간에서 제작 시점을 추정할 수 있는 3종류의 간지가 발견됐다. 임술년(壬戌年), 병인년(丙寅年), 글자 일부가 파손돼 두 번째 글자 일부와 세 번째 글자 ‘년(年)’만 보이는 간지가 등장한다. 임술년과 병인년은 각각 602년과 606년으로 추정된다.
대구 팔거산성 유적 전경. 문화재청 제공
대구 팔거산성 유적 전경. 문화재청 제공
보리(?), 벼(稻), 콩(大豆) 등 곡식 이름도 나왔다. 연구소는 “당시 산성에 물자가 집중된 상황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를 통해 산성의 행정 또는 군사 기능을 짐작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삼국사기’에 보면 목간이 제작될 무렵인 7세기 초반부터 백제는 본격적으로 신라를 침공한다. 신라는 642년 대야성(경남 합천)을 잃은 이후 군사·행정 거점을 신라 왕경과 가까운 압량(경북 경산)으로 옮긴다. 이런 정세 속에서 낙동강과 금호강의 합류 지점 인근에 자리해 수로와 육로를 통제하던 팔거산성이 신라 왕경 서쪽 방어를 위한 전초기지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연구소는 “목간에는 왕사(王私)와 하맥(下?)이라는 표현도 나오는데 정확한 의미는 추가적인 연구 과제”라면서 “다만 ‘왕사(王私)’는 기존 경남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에 보이는 왕송(王松)과 동일한 표현으로 추정했으나 두 차례에 걸친 판독조사 결과 ‘송(松)’을 ‘사(私)’로 수정해야 한다는 점을 밝혀냈다”고 설명했다.

대구 팔거산성은 정비 복원을 위해 지난해 10월부터 화랑문화재연구원이 학술발굴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석축 7기, 추정 집수지 2기, 수구 등의 유구가 발견됐다. 신라 목간이 출토된 추정 집수지 2호는 길이 7.8m, 너비 4.5m, 높이 3m로 저수 용량은 약 10만 5300ℓ다. 남북으로 경사지게 땅을 파고 목재 구조물을 설치한 후 돌과 점토로 뒤를 채웠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