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무엇이며 무엇을 하고 있나… 여전히 살아남은 고대 그리스 흔적

인간은 무엇이며 무엇을 하고 있나… 여전히 살아남은 고대 그리스 흔적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5-01-09 04:27
수정 2025-01-09 04: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초기 그리스의 문학과 철학’ 재출간

헤르만 프랭켈 1951년작 새로 번역
일반독자도 쉽게 읽을 만한 학술서

기원전 8~3세기 일컫는 ‘축의 시대’
그리스 상고기 문학·철학 원문 남아
후대의 현실에도 그들의 유산 반복
이미지 확대
흔히 ‘그리스’하면 떠올리는 이미지는 파르테논 신전으로 대표될 수 있다. 파르테논 신전은 기원전 447년부터 기원전 432년까지 지어졌다. 상고기 그리스로 불리는 시대는 현재 철학에 영향을 미친 수많은 철학자와 사상가가 등장한 이른바 ‘축의 시대’였다. 위키피디아 제공
흔히 ‘그리스’하면 떠올리는 이미지는 파르테논 신전으로 대표될 수 있다. 파르테논 신전은 기원전 447년부터 기원전 432년까지 지어졌다. 상고기 그리스로 불리는 시대는 현재 철학에 영향을 미친 수많은 철학자와 사상가가 등장한 이른바 ‘축의 시대’였다.
위키피디아 제공


현대 실존철학을 창시한 독일 철학자 카를 야스퍼스는 기원전 8세기부터 기원전 3세기까지를 ‘축의 시대’라고 불렀다. 축의 시대는 인도의 석가모니, 중국의 공자, 그리스의 소크라테스 등 현재 철학과 종교에 영향을 미친 핵심 사상가들이 등장한 때를 일컫는다. 당시에 등장한 새로운 사상과 철학은 중국, 그리스, 인도, 페르시아에서 직접적인 문화 교류 없이 발생해 더욱 놀라움을 안긴다. 영국의 종교학자 캐런 암스트롱 역시 ‘축의 시대’라는 제목의 책에서 “인류는 한 번도 축의 시대 통찰을 넘어서지 못했다”고 단언하기도 했다.

‘축의 시대’를 이룬 핵심 지역 중 하나인 고대 그리스의 문학과 철학을 상세히 분석한 책이 번역돼 눈길을 끈다. 세계적인 고전 문헌학자 헤르만 프랭켈(1888~1977)이 1951년 출간해 아직도 명성을 떨치고 있는 ‘초기 그리스의 문학과 철학’(사월의책)이다. 이 책은 2011년에 국내 출간됐지만 곧 절판됐다가 독일에서 그리스어 및 라틴어 고전학과 철학을 연구하고 박사 학위를 받은 전문가들이 새롭게 번역해 재출간했다. 사실 학술서들은 딱딱해 전문 연구자 외에는 거의 찾아보지 않는다. 그렇지만 이 책은 번역의 가독성과 정확성을 높여 고대 그리스 문학과 철학에 관심이 많은 일반 독자도 쉽게 읽을 수 있게 했다.

이미지 확대


이 책은 ‘축의 시대’ 전반기인 기원전 5세기까지, 흔히 그리스 상고기(上古期)에 등장했던 시인과 철학자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시기 문학 분야에서는 호메로스의 ‘일리아드’, ‘오디세이아’, 헤시오도스의 ‘신통기’, 사포와 같은 서정시인들의 시가 유행했고 철학 분야에서는 ‘철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탈레스부터 ‘세상은 불로 이뤄져 있으며, 모든 것은 변한다’고 주장해 현대 철학자들에게도 영향을 끼치고 있는 헤라클레이토스에 이르기까지 자연 철학자들이 주류를 이뤘다.

“기원전 12세기 그리스·미케네 문명만큼 완벽하게 파괴된 사례는 드물다. 그 몰락과 해체는 조형예술의 현저한 쇠락은 물론 문자의 소실마저 가져올 만큼… ‘암흑시대’가 이어졌다. 그래서 암흑시대가 끝나고 호메로스를 필두로 빛나던 초기 그리스 문명의 서광은 더욱 찬란했다. 문학과 철학에 있어 유럽 정신사 최초의 전성기였다.” 프랭켈은 그리스 상고기의 철학자와 시인들을 단순히 ‘최초’의 의미로만 주목하지 않고 그 시대를 ‘정신의 일대 향연’이 벌어졌던 시기이자 “인류 정신사에 있어 이후에는 찾아보기 힘든 중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그리스 상고기의 대표적 특징이자 독특한 점은 다른 문명권에서는 소실되거나 흔적마저 지워진 시대의 문학과 철학의 텍스트들이 원문 그대로 살아남아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프랭켈은 이에 대해 “상고기 그리스인들은 자기들의 현재 위치를 명확히 인식하고 그 인식을 실제 삶에서 실현하려고 했던 의지가 다른 시대, 다른 문명들과 뚜렷이 대비될 만큼 강했다”며 “그들의 유산이 후대에 반복적으로 회자되고 보존될 수 있었던 이유이기도 하다”고 설명한다.

프랭켈은 또 “그리스 상고기의 철학적, 문학적 유산이 전해져 올 수 있었던 것은 인간이 무엇이며 무엇을 하는가를 이해하고 그것을 분명하고 아름다운 언어로 표현해 남겼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2025-01-09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애도기간 중 연예인들의 SNS 활동 어떻게 생각하나요?
제주항공 참사로 179명의 승객이 사망한 가운데 정부는 지난 1월 4일까지를 ‘국가애도기간’으로 지정했습니다. 해당기간에 자신의 SNS에 근황사진 등을 올린 일부 연예인들이 애도기간에 맞지 않는 경솔한 행동이라고 대중의 지탄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애도기간에 이런 행동은 경솔하다고 생각한다.
표현의 자유고 애도를 강요하는 것은 안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