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내부비리’ 단속 비책 있나

박근혜, ‘내부비리’ 단속 비책 있나

입력 2012-08-07 00:00
업데이트 2012-08-07 10: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상설특검ㆍ특별감찰관제 공약 보완할듯..‘사정기관 개혁’ 의지도

새누리당 유력 대권 주자인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4ㆍ11 총선 공천헌금 파문을 계기로 부정부패 및 비리 단속ㆍ근절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이번 의혹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이는 공천시스템 오작동이라기보다는 개인 비리에 기인한 것이라는 인식 때문이다. 따라서 박근혜 캠프에서는 ‘공천헌금 의혹’ 대신 ‘공천비리 의혹’이라는 말을 쓰고 있다.

캠프의 한 관계자는 7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만의 하나 의혹이 입증되더라도 이는 개인 비리 문제”라며 “이를 공천제도의 문제로 연결하는 것은 침소봉대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이번 사태에 대한 박 전 위원장의 ‘처방’도 비리 단속ㆍ근절 쪽에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박 전 위원장이 전날 합동연설회에서 “모든 것을 빠른 시일 내에 밝혀 관련된 사람을 엄중 처벌해야 한다”며 “공천비리가 발붙일 수 없도록 더욱 철저하게 시스템 개혁을 해 나갈 것”이라고 말한 점도 같은 맥락이다.

여기에 전ㆍ현직 대통령의 임기 말이 측근ㆍ친인척 비리로 얼룩졌다는 점도 내부 비리에 단호할 수밖에 없는 이유로 꼽힌다. 이번 경선 과정에서 박 전 위원장의 올케인 서향희 변호사에 대해 ‘만사올통’(모든 일은 올케를 통한다)이라는 말까지 나온 상태다.

띠라서 박 전 위원장은 비리 근절을 위한 시스템 개혁과 지속적인 의지 표명을 병행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박 전 위원장은 이미 상설특검제와 특별감찰관제를 제시한 바 있다.

청와대에 국회가 임명동의하는 특별감찰관을 둬 측근ㆍ친인척 비리를 원천 차단하도록 하고 문제가 불거질 경우 상설특검을 통해 신속하고 공정하게 진상을 규명한다는 게 박 전 위원장의 복안이다.

이들 제도가 이번 공천헌금 파문과 연결된 것은 아니나 박 전 위원장이 관련 공약을 보완, 구체화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캠프 관계자는 “필요하다면 비리 단속ㆍ근절을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검토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전 위원장이 한 걸음 더 나아가 사정기관 개혁안을 조기에 제시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친박(친박근혜)계 한 핵심인사는 “박 전 위원장이 사정기관 개혁에 대해 강한 의지를 갖고 있다”며 “사정기관의 독립화, 인사개혁 등을 통해 부정부패ㆍ비리를 뿌리 뽑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비리의혹에 대한 박 전 위원장의 ‘엄격한 리더십’도 관건이다. 이번 사건에 친박(친박근혜) 인사가 연루됐다는 점에서 박 전 위원장으로서는 내부 단속 역량이 시험대에 오른 모양새다.

캠프의 다른 핵심 관계자는 “비리 근절에 있어서는 제도적 장치도 필요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의지의 문제”라며 “박 전 위원장은 ‘집권하는 한 부정부패가 발을 못 붙이게 하겠다’는 의지가 단호하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