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년 “교학사 교과서 자료사진 인터넷서 대거 인용”

김태년 “교학사 교과서 자료사진 인터넷서 대거 인용”

입력 2013-09-06 00:00
업데이트 2013-09-06 15: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뉴라이트 성향의 한국현대사학회 출신 학자들이 집필해 우편향 논란이 이는 교학사 역사 교과서에 실린 자료 사진들이 구글과 네이버 등 인터넷의 사진을 대거 인용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민주당 김태년 의원
민주당 김태년 의원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민주당 김태년 의원은 6일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교학사 역사 교과서가 외부 인용사진의 58.3%(561개 중 327개)를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서 인용했다”고 밝혔다.

우편향 논란이 집중적으로 제기된 근현대사 4·5단원에서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 사진 인용 비율이 각각 67.5%(148개 중 100개), 82.7%(87개 중 72개)에 달했다.

김 의원은 대표집필자인 권희영 교수가 쓴 현대사 부분은 인용사진 87개 중 86개가 모두 인터넷 홈페이지 검색으로 얻을 수 있는 사진이고, 단 1건만 (뉴라이트 계열) ‘교과서 포럼’이 집필한 ‘대안교과서’에서 인용했다고도 주장했다.

김 의원은 “(임시정부 독립운동 소식을 전하던) ‘이승만 단파방송문’을 디시인사이드 게시판에 올라와 있는 것을 그대로 가져다 쓰는 등 정확한 사료를 표시하고 고증해야 할 사료탐구 자료에도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에 따르면 인용 사진의 설명에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김 의원은 “제주 4·3 사건과 관련해 ‘군경의 설득으로 하산해 심문받기 위해 기다리고 있는 주민들’이라는 설명의 사진은 원래 미국 국립기록관리청 자료로, 정황상 체포당한 주민들의 사진일 수 있어 의도적 왜곡이 엿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교과서는 사진의 출처를 충남 공주시의 모 교회 홈페이지로 표시했다”며 사진 인용 절차상의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김 의원은 “교과서는 가장 신뢰도 높은 자료를 바탕으로 써야 하는데 인터넷만 검색해 책을 만들다 보니 신뢰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교과부는 기본도 갖추지 못한 교수들의 교과서를 검정한 셈”이라고 비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