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선고 이후 국론 분열될 수도…위기극복 위해 최선 다하겠다”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는 5일 국가정보원이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을 진행 중인 헌법재판소를 불법사찰했다’는 주장이 나왔다고 일부 언론이 보도한 것과 관련해 진상 규명을 촉구했다.안 전 대표는 이날 서울 용산구 전자랜드 핸즈온캠퍼스에서 ‘어린이 창의교육실현 코딩수업’ 현장을 방문한 뒤 기자들과 만나 “민주주의에 대한 심각한 도전이자 국민에 대한 도전”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안 전 대표는 “진상을 밝히고 책임자를 찾아내 반드시 책임을 물어야 한다. 관련 수사도 진행돼야한다”며 “이런 일이 다시는 없도록 재발방지책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선고를 앞둔 일주일을 어떻게 보낼 계획이냐는 질문에는 “심판 이후 자칫하면 국론이 분열될 수 있다”며 “국론이 분열되지 않고 대한민국이 위기를 함께 극복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 측이 기자회견을 열고 경선 과정에 여론도사 도입 불가 입장을 거듭 강조한 것과 관련해선 “함께 논의해 좋은 해결방법을 찾겠다”고 말을 아꼈다.
안 전 대표는 또 정운찬 전 국무총리가 바른정당 입당을 타진하고 있다는 보도와 관련, “국민의당은 뜻을 함께하는 어떤 분에게도 활짝 문호를 개방하고 있다”며 “함께 경쟁하면서도 협력하는 좋은 모델을 만들겠다”고 원론적인 답변을 내놨다.
이에 앞서 안 전 대표는 코딩을 활용해 로봇개구리를 만드는 수업에 참여, “4차산업혁명 시대에선 아이들에게 암기력보다 문제해결 능력을 길러줘야 하고, 그 핵심이 코딩 교육”이라며 “초등학교 1∼2학년 학생들도 재미있게 적응하며 배우는 걸 보니 우리 교육의 발전 가능성을 본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은 오바마 전 대통령이 4조4천억원을 투자해 이런 교육을 하겠다고 했고, 이스라엘은 수십 년 전부터 해왔다”며 “우리나라는 2018년부터 코딩 교육을 도입하는 셈이니 너무 늦었다. 시설을 확충하고 교재도 만들고 선생님들 교육도 올해부터 시켜야 아이들이 제대로 된 교육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마침 제가 속한 국회 교육문화위원회 소속이니 아이들이 4차 산업혁명시대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예산, 제도 등을 책임지고 챙기겠다”고 약속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