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탈당 후 ‘광폭 행보’…탄핵확정 후 ‘제3지대’ 형성 관심
헌법재판소가 10일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인용하면서 정치권 일각에서 모색되고 있는 ‘반문(반문재인) 개헌연대’가 더욱 탄력을 받을지 주목된다.박 대통령의 퇴임으로 ‘60일 대선 시간표’가 확정되면서 그간 물밑에서 반문을 기치로 들고 개헌을 고리로 한 ‘제3지대’를 모색해 온 여야 정치인들의 움직임이 더욱 빨라질 것이란 전망이다.
대표적인 개헌파인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 대표는 최근 더불어민주당 탈당 이후 여야 유력 정치인들을 잇달아 만나며 ‘반문 개헌연대’ 논의에 불을 붙이고 있다.
김 전 대표는 최근 국민의당 대선주자인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와 바른정당 대선주자인 유승민 의원을 만났고, 탄핵선고일인 이날에도 바른정당 대선주자 남경필 경기지사를 만나는 등 광폭·연쇄 행보를 이어 가고 있다.
김 전 대표의 탈당을 필두로 민주당 내에서 반문 개헌파 의원들의 추가 탈당설도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최근 이종걸 의원은 ‘5년 단임 분권형 대통령제’를 골자로 하는 자체 개헌안을 만들었으며, 이 안을 개헌특위에 상정하거나 당론으로 채택해달라고 압박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자유한국당·국민의당·바른정당이 공동개헌안을 고리로 민주당을 포위하면서 원심력이 더 강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장외에 머무는 정운찬 전 국무총리도 탄핵 이후 거취를 결정하겠다고 밝히면서 제3지대의 한 축으로 역할을 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제3지대 논의가 ‘찻잔 속 태풍’에 그치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적지 않다.
반문을 기치로 내걸고 있지만, 정작 문 전 대표에 맞설만한 대선주자가 없다는 점은 제3지대 형성에 의구심을 품게 하는 요인이다.
또 이미 대선 전 개헌이 불가능해진 상황에서 ‘개헌파’들의 모임이 국민에게 설득력을 가질지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기성정당 중에서는 국민의당에서는 대주주격인 안철수 전 대표가 ‘정치공학적 연대’에 강하게 반대하고 있어 당 차원의 동참이 쉽지 않고, 한국당은 청산 대상으로 지목되는 친박계가 여전히 주류 세력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점이 걸림돌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