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탄핵’ 논의…南 “패권세력 뺀 중도·통합 연정”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 대표가 10일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바른정당 대선주자인 남경필 경기도지사와 만나 정국현안을 논의했다.김종인, 남경필과 식사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김종인 전 비대위 대표(오른쪽)와 남경필 경기지사가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만나 대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특히 이날 회동은 헌법재판소가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을 인용 결정한 직후 이뤄진 것이어서 두 사람의 대화 주제는 자연스럽게 ‘포스트 탄핵’ 문제에 집중됐다.
남 지사가 “정치권이 잘해야 한다”고 운을 떼자 김 전 대표는 “지금부터가 중요한 일”이라며 “갈가리 찢어놓은 국민 마음을 잘 봉합해서 국제적으로 국내적으로 어려운 파도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정치권이 합심해 새 정부가 잘 탄생하도록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전 대표는 헌재의 탄핵 인용으로 60일 안에 치러질 조기대선에 대해서는 ‘국민의 역할’을 강조했다.
김 전 대표는 “60일 안에 새로운 리더십을 뽑아야 하는데 현재 우리가 안고 있는 현안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 있는 사람이 나와야 하지 않겠느냐 생각한다”며 “국민이 어떤 사람을 택해 자기네 운명을 맡길지는 국민의 몫”이라고 말했다.
헌재 결정에 대해서는 “국민이 현직 대통령을 탄핵하라고 외쳐서 헌재가 오늘 탄핵을 결정했다”며 “일단 국민이 민주주의 사회에서 승리를 봤다고 본다”고 평가했다.
이어 “이런 측면에서 대한민국 민주주의가 상당히 발전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면서도 “거기에 그치지 말고 경제도 그렇고, 안보도 그렇고, 국민이 편안하게 살 길로 가야 되므로 국민이 어떤 지도자를 선택하느냐(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두 사람은 연정과 협치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
남 지사가 “어떤 대통령이 뽑히더라도 협치 없이는 국회를 이끌기 어렵다”고 말하자 김 전 대표는 “대한민국이라는 나라가 혁신하려면 최소한 다음 정권은 180석이 넘는 협치 체제를 구축하지 않으면 성공할 수 없다”면서 “어떻게 만드느냐가 성공의 열쇠”라고 말했다.
김 전 대표는 한시간여에 걸쳐 식사를 마치고 난 뒤 기자들과 만나 바른정당 등 세력과의 ‘빅텐트’ 구상과 관련한 질문을 받고는 “빅텐트 그런 얘기는 전혀 없었다”고 답했다.
바른정당 입당 가능성에 대한 물음에는 “아무 데도 안간다고 미리 얘기하지 않았나”라고 답했다.
이에대해 남 지사도 “(입당) 그 이야기는 안했다. 이런저런 고민은 많이 하시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전 대표가 ‘이번 대선도 지금 구도대로 안갈거다, 그렇게 안 가게 해야한다’고 말했다. 패권 때문에 그런 것”이라고 말했다.
남 지사는 “권력이 대통령 한곳에 집중되는 문제를 해결하려면 패권세력을 뺀 중도·통합의 연정으로 가는 방법밖에 없다. 대선 전에 어려우니, 대선 이후 그걸 제도화하는 개헌을 해야겠다는데 의견이 모아졌다”고 전했다.
남 지사는 “김 전 대표가 ‘남 지사같은 사람이 이번 대선에서 좋은 결과를 얻어야 국가에 좋다’고 말했다. 좋은 얘기 해주셨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도통합 연정에 바른정당이 중심을 잡아야 하며, 김 전 대표도 거기에 잡을 수 있는 인식과 역량을 가진 분”이라고 추켜세웠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