텅 빈 국회 본회의장
서울신문DB
16일 보건사회연구원과 서울대사회발전연구소 공동연구진에 따르면 지난해 6~11월 전국 만 18세 이상 1052명(남성 476명, 여성 576명)을 대상으로 정치적 냉소주의의 정도를 설문조사한 결과 ‘정치인들은 나라 걱정을 하기보다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동한다’는 문항에 ‘그렇다’고 응답한 비율이 87.3%에 달했다.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5.3%에 불과했고, 중립적이라고 할 수 있는 ‘보통’ 응답 비율은 7.3%로 조사됐다.
또 ‘정치인들이 좋은 말을 하는 것은 단지 표를 얻기 위한 것이다’란 문항에 대해서도 ‘그렇다’는 응답 비율이 압도적(85.5%)이었다.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겨우 5.3%에 그쳤고, ‘보통’이란 대답은 9.1%였다.
‘정치인들이 하는 말을 믿는 것은 바보 같은 짓이다’란 문항에 ‘그렇다’고 답한 비율도 73.4%에 달할 만큼 정치인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이 컸다. 같은 문항에 ‘그렇지 않다’라고 대답한 비율은 9.1%, ‘보통’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17.4%였다.
이처럼 정치인을 냉소주의적으로 바라보는 태도는 성별, 연령별, 교육수준별, 가구소득 수준별, 거주지역별 등 사회인구학적 특성별로 그다지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가족 간 정치 문제를 소재로 한 대화의 빈도와 정치적 냉소주의 간의 관계를 분석해보니, 가족 간에 정치 대화를 매우 자주 하는 집단과 전혀 하지 않는 집단에서 정치인에 대한 냉소가 심했다. 연구팀은 “가족과 정치 대화를 많이 할수록 정치 관련 정보와 지식이 많아지면서 정치 현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화됐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