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집무실 이전 무리” 입장에…文·尹 회동 성사 시간 걸릴듯

청와대 “집무실 이전 무리” 입장에…文·尹 회동 성사 시간 걸릴듯

강민혜 기자
입력 2022-03-21 17:35
업데이트 2022-03-21 17: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靑 “시간에 쫓겨야 할 사정 없다면 준비 후 이전 추진이 순리”
“갑작스러운 이전, 안보 공백·혼란 초래”

“윤석열 당선인 존중” 입장 반나절만에 선회
윤 당선인 핵심 공약…청와대 제동으로 관계 급랭 전망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019년 7월 25일 청와대 본관 충무실에서 윤석열 당시 신임 검찰총장에게 임명장을 준 뒤 기념사진을 찍던 모습이다. 2019. 07.25 도준석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019년 7월 25일 청와대 본관 충무실에서 윤석열 당시 신임 검찰총장에게 임명장을 준 뒤 기념사진을 찍던 모습이다. 2019. 07.25 도준석 기자
청와대는 21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 집무실 서울 용산 이전 방안과 관련해 “새 정부 출범 전까지 국방부·합참·대통령 집무실과 비서실 등 보좌기구·경호처 등을 이전한다는 계획은 무리한 면이 있어 보인다”고 밝혔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문재인 대통령이 주재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확대관계장관회의 결과를 브리핑하며 “시일이 얼마 남지 않아 촉박하다”며 이렇게 말했다.

이는 박 수석이 이날 오전 YTN라디오에 나와 “당선인의 공약이나 국정운영 방향을 존중하는 기조에는 변함이 없다”며 사안을 윤 당선인측과 협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것과 달리 입장이 급선회한 것이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청와대가 정면으로 제동을 걸고 나서며 정국이 급속도로 냉각될 전망이다.

윤 당선인이 전날 대국민 브리핑을 한 사안에 문 대통령이 직접 주재한 회의에서 이에 반대 의사를 밝힌 만큼 신·구 권력 간 정면충돌이 불가피하다.

박 수석은 “한반도 안보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며 “준비되지 않은 국방부와 합참의 갑작스러운 이전과 청와대 위기관리센터 이전은 안보 공백·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청와대를 중심으로 설정된 비행금지 구역 등 대공 방어체계를 조정해야 하는 문제도 검토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시간에 쫓겨야 할 급박한 사정이 있지 않다면 국방부·합참·청와대 모두 더 준비된 가운데 이전을 추진하는 게 순리다”라며 “정부는 당선인측과 인수위에 우려를 전하고 필요한 협의를 충분히 거쳐 입장을 결정할 것이다”라고 했다.

박 수석은 “임기가 끝나는 마지막 날 밤 12시까지 국가안보·군 통수는 현 정부·대통령의 내려놓을 수 없는 책무다”라며 “국방부 합참 관련 기관 등은 마지막 순간까지 흔들림 없이 임무에 임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따라 이전 관련 예산 작업도 당분간 추진이 어려울 전망이다.

윤 당선인측은 22일 국무회의에서 예비비 지출 승인이 완료되면 국방부 이전 작업부터 즉각 진행할 방침이었다.

그러나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국무회의 상정은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 결과로 지난 16일에 개최하려다 연기됐던 문 대통령·윤 당선인 간 청와대 회동도 성사되기까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다만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안보 문제는 모범적 정권 인수인계를 잘하는 가운데 분명하고 세밀하게 검토돼야 할 문제다”라며 “이 문제는 전체의 흐름과는 별개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회의에는 NSC 상임위원과 집무실 이전 관련 업무의 주무 부처 장관인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전해철 행정안전부 장관과·원인철 합참의장 등이 참석했다.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이 공식화된 20일 휴일 나들이에 나선 시민들이 청와대를 바라보고 있다. 2022. 3. 20 박지환 기자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이 공식화된 20일 휴일 나들이에 나선 시민들이 청와대를 바라보고 있다. 2022. 3. 20 박지환 기자
강민혜 기자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