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 기종 EADS·美보잉 거론
비행 중인 전투기에 연료를 보급할 수 있는 공중급유기 4대를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도입하는 방안이 추진된다.정부의 한 소식통은 “오는 12일 열리는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2017년부터 3년간 공중급유기 4대를 도입하는 방안이 결정된다”고 6일 밝혔다. 도입 예산은 1조원 이상으로 알려졌다.
후보 기종으로는 유럽항공방위우주산업(EADS)의 A330 MRTT와 미국 보잉의 KC46A 등이 거론된다. 공군은 전투기에 연료를 가득 채워 독도 또는 제주도 남방해상으로 출격시켰을 경우 해당 지역에서 작전할 수 있는 시간이 5∼30분에 불과한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공중급유기 도입을 추진해 왔다.
지난해 국방부는 공중급유기 도입을 위해 올해 예산에 467억원을 반영했으나 예산안 확정 과정에서 전액 삭감됐다. 국방부는 내년 예산에도 비슷한 규모로 초기 공중급유기 도입 예산을 반영해 기획재정부에 요구안을 넘긴 상태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13-08-07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