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보유 ATACMS 지대지미사일, 北 방사포 발사 진지 타격에 유용
북한이 4일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군 시찰 장면을 공개하며 지난 3일 동해상으로 발사한 발사체가 신형 300㎜ 대구경 방사포라고 밝혔다. 북한은 지난해 10월 10일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이 무기를 전격 공개했으며 실전 배치가 임박한 것으로 평가된다.조선중앙통신은 이날 300㎜ 방사포에 대해 “남조선 작전지대 안의 주요 타격 대상들을 사정권 안에 두는 정밀유도체계를 갖춘 첨단 장거리 대구경 방사포 체계”라며 김 제1위원장이 이를 빨리 실전 배치할 것을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김 제1위원장이 지난 3년 동안 300㎜ 방사포 시험 사격을 13차례나 참관했다고 강조했다.
방사포는 여러 발의 로켓탄을 발사관 안에 넣고 연속 발사해 짧은 시간에 목표 지점을 집중 공격하는 포병 무기다. 군 당국은 발사관 8개를 갖춘 300㎜ 방사포의 사거리가 170~200㎞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군사분계선(MDL) 인근에서 쏠 경우 경기 평택 주한 미군기지를 포함한 수도권 전역과 전북 군산 주한 미군기지, 육해공군본부가 있는 충남 계룡대까지 사정권에 들어간다. 북한의 기존 방사포는 107㎜, 122㎜, 240㎜의 3종이며 240㎜ 방사포의 경우 최대 사거리가 90㎞다.
군 당국은 북한이 중국 다연장로켓 ‘WS1B’를 모방해 300㎜ 방사포를 개발한 것으로 분석했다. WS1B가 발사하는 150㎏ 고폭탄은 약 2만 5000개의 파편으로 부서져 살상 반경이 70m에 달한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번 사격 시험이 “파편지뢰탄, 지하침투탄, 산포탄에 의한 여러 가지 사격 방식으로 진행됐다”며 300㎜ 방사포가 다양한 포탄을 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북한 300㎜ 방사포에 필적하는 우리 군의 국산 다연장로켓으로는 지난해 8월부터 실전 배치한 ‘천무’가 꼽힌다. 하지만 천무는 사거리가 80여㎞에 그쳐 300㎜ 방사포 사정권 밖에서 이를 타격하는 데 한계가 있다. 대신 군이 보유한 에이태킴스(ATACMS) 전술지대지미사일은 사거리가 300㎞로 방사포 발사 진지를 타격할 유용한 대응 무기가 될 수 있다고 평가된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6-03-05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