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安, 단일화 파행사태 득실은

文-安, 단일화 파행사태 득실은

입력 2012-11-19 00:00
업데이트 2012-11-1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야권의 후보 단일화 파행 사태가 닷새만에 봉합되면서 단일화 경쟁을 앞둔 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대선 후보의 득실에도 관심이 모이고 있다.

두 후보가 18일 밤 단독회동에서 다음날부터 단일화 실무협상을 재개키로 합의함에 따라 양측은 득실 계산 및 향후 전략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일단 문 후보와 안 후보는 이날 낮 ‘단일화 룰 위임’(문 후보), ‘조건 없는 회동’(안 후보) 등으로 서로 ‘양보’ 제스처를 취하면서 협상 재개의 물꼬를 열었다.

특히 문 후보가 단일화 승부의 핵심이나 다름없는 단일화 룰을 전격적으로 양보한 것은 여론 흐름이 자신에게 유리하게 흘러가고 있다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문 후보는 단일화 국면 들어 지지율 상승세를 타고 있다. 그동안 요구했던 ‘국민참여 경선’ 방식이 아니라 안 후보 측이 선호하는 여론조사를 통해서도 이길 수 있다는 자신감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특히 ‘통큰 양보’와 ‘맏형’ 이미지를 확산시켜 여론전의 우위를 차지했다는 게 문 후보 측의 평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이해찬 대표 등 지도부가 사퇴해 문 후보 측으로서는 체면을 구기게 됐다.

문 후보는 그동안 민주당 내부의 ‘이해찬 대표-박지원 원내대표 퇴진’ 요구에 “맡겨 달라”고만 말한 뒤 20여일 가까이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다가 결국 안 후보 측의 ‘소리 없는’ 압박에 두 손을 든 셈이다.

더구나 민주당 스스로도 정당쇄신의 주요 과제로 인적쇄신이 필요했다는 점을 인정한 모양새가 됐다.

안 후보는 지난 16일 ‘선(先) 민주당 쇄신 의지 피력, 후(後) 회동’ 주장을 폈으나 불과 이틀만에 문 후보의 ‘조건 없는 회동’ 요구를 받아들였다.

단일화 합의 시한이 임박함에 따라 더이상 협상을 미뤘다간 야권 단일화를 희망하는 지지층의 외면받을 수 있다는 위기감에 민주당 이 대표가 사퇴라는 상징적 조치도 협상 복귀의 명분을 준 것으로 평가된다.

물론 안 후보로서는 지난 6일 단일화 합의 이후 ‘누가 단일후보가 될지’에만 관심이 쏠려 ‘정치쇄신’ 의제가 갈수록 희석되자 협상 중단을 선언하고 혁신 카드를 다시 끄집어 냈으나 큰 재미를 보지 못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안 후보도 단일화 협상 재개의 명분과 실리를 챙긴 것으로 평가된다. 무엇보다 문 후보가 적당히 뭉개고 넘어가려던 지도부 총사퇴 카드를 결국 꺼내게 만든 점이다.

이같은 조치를 안 후보는 민주당 쇄신의 신호탄으로 간주할 수 있어, 지지층의 동요를 최소화하면서 단일화에 적극적으로 임할 수 있는 명분을 얻게 됐다.

안 후보 측은 ‘안철수 불쏘시개론’, ‘무소속 대통령 불가론’ 등의 진원지가 이 대표이고, 그를 둘러싼 친노(친노무현) 인사들이 ‘단일화 전쟁’을 부추기고 있다는 의심을 해온 게 사실이다.

앞서 안 후보 측 핵심인사는 지난 16일 “문 후보의 리더십을 저해하는 요소는 제거돼야 한다. 충치는 뽑아야 한다”며 사실상 퇴진을 요구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