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회담 무산은 南 책임”…정부 “北 억지 주장”

北 “회담 무산은 南 책임”…정부 “北 억지 주장”

입력 2013-06-13 00:00
업데이트 2013-06-13 16: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북 책임공방 가열…대화 여지는 있어

북한이 13일 남북당국회담이 무산된 책임을 남측에 돌리면서 “당국회담에 미련이 없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정부가 “북한이 억지 주장을 펴고 있다”고 반박, 당분간 남북 간 대화분위기 조성이 어렵게 됐다.

북한의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는 이날 대변인 담화에서 “북남당국 회담이 괴뢰패당의 오만무례한 방해와 고의적인 파탄책동으로 시작도 못해보고 무산되고 말았다”며 “우리는 당국회담에 털끝만한 미련도 가지지 않는다”고 밝혔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전했다.

조평통은 이어 “(남측은) 이번 사태가 북남관계에 미칠 엄중한 후과에 대해 전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번 담화는 남북당국회담이 무산된 이후 북한의 첫 공식 반응이다.

조평통은 남측이 통일부 장관을 회담에 내보낼 것을 확약했음에도 회담 직전에 수석대표의 급을 낮췄다며 이는 “북남 대화역사에서 본적이 없는 해괴한 망동으로서 무례무도의 극치”라고 비난했다.

그러나 우리 정부는 북한이 사실을 왜곡했다고 반박했다.

통일부는 이날 입장자료를 통해 “북한이 수석대표 급(級) 문제를 이유로 남북당국회담을 무산시키고 오늘 담화를 통해 실무접촉 과정을 일방적으로 왜곡해 공개한 것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수석대표 급을 맞추는 것은 남북 간 현안에 대한 실질적 협의를 통해 새로운 남북관계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것”이라고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통일부의 한 당국자는 조평통이 ‘남측이 애당초 대화 의지가 없었고 회담을 고의로 지연시키려 했다’고 주장한 데 대해 “북한의 억지 주장이며 답변할 만한 일고의 가치가 없다”고 밝혔다.

우리 정부가 회담의 수정제의를 하지 않겠다는 태도를 유지하고 있고 북한도 회담에 회의적 입장을 보임에 따라 남북관계의 경색 분위기가 한동안 계속될 공산이 커졌다.

북한은 이날도 판문점 연락관의 전화를 받지 않아 연락채널이 이틀째 가동되지 못했다.

다만 남북이 대화의 여지는 남겨놓고 있기 때문에 극단적 대립 국면으로 치닫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통일부는 이날 “북한이 성의를 갖고 책임있게 남북 당국 대화에 호응해 오길 바란다”고 거듭 촉구했다.

북한도 우리 정부를 비난하면서도 판문점 연락채널의 단절이나 당국간 대화 중단 등의 극단적 표현은 쓰지 않았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이 남측의 책임론을 강하게 부각하면서도 대화의 파탄이나 단절까지는 가지 않고 있다”며 “앞으로 남북간 대화의 모티브가 다시 생기면 상황이 바뀔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