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둥~신의주 왕래 40년 역사 버스, 北中 우의 상징으로 다시 조명받아

단둥~신의주 왕래 40년 역사 버스, 北中 우의 상징으로 다시 조명받아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19-02-26 00:16
업데이트 2019-02-26 02: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정은 특별열차’ 통과 계기로 부각

하루 2회 운행… 탑승 전 통관 검색
이미지 확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장장 60시간의 특별열차를 타고 광활한 중국 대륙을 통과하는 베트남행에 오른 가운데 북중 접경도시인 단둥과 신의주를 오가는 40년 역사의 버스가 북중 우의의 상징으로 다시 조명받고 있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25일 중국 랴오닝성 단둥과 신의주를 매일 오가는 버스가 북중 우의를 대변한다고 보도했다. 김 위원장이 열차를 이용해 중국을 이동하면서 중국 내부에서도 북한과 중국을 오가는 교통편에 대한 관심이 커진 가운데 압록강 조중우의교를 매일 통과하는 버스의 존재가 부각됐다.

매일 오전과 오후 하루에 두 차례 단둥과 신의주를 오가는 버스는 1970년대부터 운행이 시작됐으며 버스비는 20위안(약 3400원)이다. 버스 승객들은 탑승 전에 통관 검색을 거쳐야만 한다. 이와 함께 베이징과 평양 사이에는 북한 항공사인 고려항공뿐 아니라 중국 에어차이나가 운행되며, 북한으로 가는 중국 여행객들은 주로 단둥에서 열차를 타고 평양역으로 간다. 또 2011년 북한 국가관광총국 등의 요청으로 운행이 시작된 단둥~신의주 국제관광 특별열차는 단둥역 출발 13분 만에 종착역인 신의주역에 도착한다.

단둥~신의주 301번 버스 승객들은 주로 가족을 만나는 것이 목적이거나 사업가들로 한번에 20여명 정도가 탄다. 화물 트럭이 없을 때는 301번 버스가 물자 수송에 주로 사용됐다.

지난 23일 저녁 김 위원장이 탄 특별열차가 2차 북미 정상회담을 위해 베트남행에 오를 때 단둥시는 301번 버스가 오가는 조중우의교에 조명을 비추기도 했다. 천빙(陳氷) 선전 위성방송 논설위원은 “김 위원장의 열차 이용은 전 세계가 북중 관계의 역사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 윤창수 특파원 geo@seoul.co.kr

2019-02-26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