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박사마저… 4명중 1명 ‘백수’

서울대 박사마저… 4명중 1명 ‘백수’

입력 2012-08-07 00:00
업데이트 2012-08-07 01: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2년간 졸업자 27% 취업 못해… 10년래 최악

서울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아도 4명 중 1명은 백수의 길로 접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서울대에 따르면 2010년 8월과 지난해 2월 서울대 박사과정을 졸업한 1054명 가운데 289명(27.4%)이 취업을 하지 못했거나 진로가 확인되지 않은 ‘미취업·미상’으로 집계됐다. 2년 전 집계(2008년 8월·2009년 2월 졸업) 때의 15.4%에 비해 12% 포인트나 뛰었다.

서울대 관계자는 “박사 학위를 받아도 교직·연구소·기업체 등에서 일자리를 구하지 못했다는 의미”라면서 “최근 10년간 통계 가운데 최고치”라고 설명했다.

서울대 박사과정 졸업생들의 취업률 통계에서도 ‘박사 실업’의 심각성이 드러난다. 내국인 박사과정 졸업생 가운데 진학을 하는 인원과 군 입대자를 뺀 순수 취업률은 2009년 83.4%, 2010년 73.0%, 지난해 70.3% 등 급격하게 떨어지고 있다. 2002년 87.9%에 비하면 10년 새 17.6% 포인트나 하락했다.

진로를 쉽게 정하지 못하는 졸업 예정자도 적지 않다. 서울대 대학생활문화원이 최근 발간한 ‘2012학년도 대학생활 의견조사’를 보면 박사과정 졸업 예정자 252명 가운데 51명(20.2%)이 ‘진로미정’이라고 답했다. 박사과정 5명 중 1명이 진로를 정하지 못한 셈이다. 같은 조사에서 10명 중 1명(11.2%)꼴인 석사과정 응답자의 2배 가까운 수치다.

서울대 대학원 박사과정 유모(28)씨는 “교수 자리가 하늘의 별따기여서 학업보다는 취업을 원하는 대학원생이 많아지고 있다.”면서 “그러다 보니 고학력이면서 나이가 많다는 점이 취업을 가로막는 요소로 작용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박사 졸업 예정자의 진로는 ‘국외기관 박사 후 과정’(23.0%)이 가장 많았고 ‘학교’ 15.9%, ‘기업체’ 14.3%, ‘국내기관 박사 후 과정’ 9.9% 순이었다.

명희진기자 mhj46@seoul.co.kr

2012-08-07 1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