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LL 대화록 공개 논란에 서해 5도 주민 ‘시큰둥’

NLL 대화록 공개 논란에 서해 5도 주민 ‘시큰둥’

입력 2013-06-25 00:00
업데이트 2013-06-25 11: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북 긴장완화·서해5도 경제자립 대책 마련해야”

국가정보원이 서해 북방한계선(NLL)과 관련한 2007년 남북 정상회담 당시 대화록을 공개해 파문이 이는 가운데 정작 NLL 인근 서해 5도 주민들은 25일 논란에 무관심한 반응을 보였다.

서해 최북단 섬 주민들은 정치권이 전직 대통령의 NLL 발언을 두고 싸울 것이 아니라 남북 긴장을 완화하고 서해 5도의 경제적 자립을 도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지난 2007년 남북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서해 평화협력지대 구상 발표에 대해 당시 서해 5도 주민들은 대체로 반기는 분위기였다.

이 구상의 핵심은 해주지역과 주변해역을 ‘공동어로수역’으로 지정하는 것이었다. 또 경제특구를 만들고 민간선박의 인천∼해주 직항로 개설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키로 했다. 서해 5도 일대의 군사적 불안정성을 평화수역 설정과 경제협력 강화로 없애자는 구상이었다.

서해 5도 주민들은 평화협력지대가 만들어지면 더 안전하게 조업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중국어선의 불법조업도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북방한계선 재조정이나 공동어로구역 설정이라는 민감한 문제에 대해서는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혹시 어민들의 생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지 몰라 촉각을 곤두세운 것이다.

그러나 이 구상은 이명박 정부 들어 10·4 선언 자체가 흐지부지되면서 빛이 바랬고 어민들의 관심과 우려도 잦아들었다.

최근 국정원의 남북 정상회담 대화록 공개로 다시 NLL이 논란이 된 데 대해 이 지역 주민들은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다.

백령도에서 30년째 배를 타는 어민 장모(68)씨는 “최근 서해 5도 어장의 어획량이 계속 주는 추세여서 먹고 살기 힘들다”며 “NLL을 가지고 다시 남한 내에서 싸움이 일어났는데 사실 관심 없다”고 퉁명스럽게 말했다.

백령도 주민 홍모(47)씨는 “서해 평화협력지대가 만들어졌다면 현재 불법조업을 하는 중국어선으로 인한 피해는 크게 줄었을 것 같다”며 “다시는 천안함 폭침이나 연평도 포격 같은 불행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서해 5도 주민들은 정치권이 NLL과 관련한 전직 대통령의 발언을 놓고 싸울 것이 아니라 북한과 마주한 섬 주민들을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평도 주민 김모(47·여)씨는 “국가 안보 문제가 걸린 NLL을 두고 논쟁이 있을 수는 있지만 정치권이 NLL 바로 앞에 사는 서해 5도 주민들을 생각한다면 생계 지원 대책부터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른 연평도 주민 박모(55·여)씨도 “탈북자 출신이 연평도에서 배를 타고 북한으로 넘어가는 것도 뒤늦게 아는 나라 아니냐”며 “전직 대통령의 예전 발언을 가지고 싸우는 것은 의미 없고 서해 최북단 섬에 사는 주민들을 위해 정부의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