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룸·주점 ‘화마 사각지대’…소방법 개정 시급

원룸·주점 ‘화마 사각지대’…소방법 개정 시급

입력 2013-09-13 00:00
업데이트 2013-09-13 10: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원룸이나 주점, 다방 등은 화재 안전관리에 취약하다.

불이 나기만 하면 여러 사람이 한꺼번에 목숨을 잃는 안타까운 일이 터지기 일쑤다.

13일 오전 2시께 충북 보은군 보은읍 삼산리의 한 상가 건물 2층 유흥주점에서 불이 나 2명이 숨지고 6명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같이 안타까운 일은 몇 해 사이에 한 두 번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 연례행사처럼 곳곳에서 터져 나오고 있다.

시설 면적이 작을 경우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 관리에 관한 법률’ 상의 의무 조항이 적용되지 않는 탓이다.

화재 예방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별다른 처벌을 받지 않는 일종의 ‘화마 사각지대’인 셈이다.

지난 1월 제천시의 4층짜리 원룸에 불이 나 입주자 9명이 병원 치료를 받았고, 6월에는 청주시의 한 다세대 주택에 불이 나 일가족 3명이 질식해 숨지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했다.

2009년 5월에는 진천군의 한 단란주점에 불이 나 30대 종업원 등 3명이 숨졌고, 2011년 2월에는 같은 지역의 유흥주점에서 손님이 버린 담배꽁초로 불이 나 긴급 대피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원룸이나 다세대 주택, 주점에서 불이 나는 일이 비일비재한데도 뾰족한 예방책은 없다.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법상 600㎡ 미만의 근린 생활시설이나 5층 미만의 원룸은 규제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화재 발생 때 필수적인 소화전이나 안전유도등 없이 비상 경보시설만 설치하면 그만이다.

소방 안전관리 책임자를 둬야 하고 자동 화재 탐지시설을 설치해야 하는 연면적 600㎡ 이상인 2급 이상 시설과 대조적인 규정이다.

더욱이 유흥업소의 경우 소방관이 직접 시설을 점검했으나 2010년부터 업소 자체적으로 소방 점검을 실시하는 것으로 소방방재청 내부 규정이 바뀌었다.

각 소방서는 특별 소방점검 기간을 선정, 5%가량의 업소만 표본 조사하고 있을 뿐이다.

충북도 소방본부의 한 관계자는 “소방서 직접 점검 규정이 규제 개혁 차원에서 없어졌지만 이 역시 대형 참사를 유발하는 헛점”이라며 “매년 되풀이되는 참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소방법 개정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