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정보원 청년패널조사 연구…월평균 227만원 벌어
청년 자영업자 10명 가운데 6명은 창업 2년도 안 돼 문을 닫는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한국고용정보원의 ‘늘어나고 있는 청년 자영업자’ 보고서에 따르면 청년들의 자영업 지속기간은 평균 31개월에 불과했다.
특히 창업자 3분의 1이 1년도 안돼 폐업하는 등 창업 후 2년도 안 돼 폐업하는 경우가 55.3%에 달했다. 1년 미만이 30.1%, 1년 이상∼2년 미만은 25.2%였다. 2년 이상∼4년 미만은 22.9%, 4년 이상은 21.8%였다.
이번 연구는 청년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해 청년 자영업자들의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청년패널조사는 2007년 당시 만15∼29세인 1만명을 표본으로 추출해 이들의 학교생활, 취업 등 사회경제 활동 등을 해마다 추적한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 청년 자영업자는 2015년 기준으로 만 23∼37세 중에서 혼자 또는 무급 가족종사자와 함께 사업체를 운영한 적이 한 번이라도 있는 사람으로 설정됐다. 대상자는 총 555명(남성 281명·여성 274명)으로 집계됐다.
청년 자영업자의 월평균 소득은 226만 7000원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253만 5000원인데 비해 여성은 199만 8000원으로 성별 소득 격차가 60만원 가까이 됐다.
산업별로는 도소매·음식업(40.6%)이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직업별로는 영업판매직(35.1%), 서비스 관련직(18.2%) 순으로 나타났다.
학력별 분포는 대졸 이상이 36.9%로 가장 많았고, 고졸 이하 36.0%, 전문대졸 27.1%로 집계됐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고졸 이하가 42.3%로 가장 많았고, 여성은 대졸 이상이 42.7%나 됐다.
황광훈 책임연구원은 “청년 자영업자는 초기 시장 정착이 중요하다”면서 “노동시장 이탈 및 퇴출 가능성이 큰 저소득 수입자를 중심으로 자금 지원 확대와 심층적인 경영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청년 자영업자 10명 가운데 6명은 창업 2년도 안 돼 문을 닫는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한국고용정보원의 ‘늘어나고 있는 청년 자영업자’ 보고서에 따르면 청년들의 자영업 지속기간은 평균 31개월에 불과했다.
특히 창업자 3분의 1이 1년도 안돼 폐업하는 등 창업 후 2년도 안 돼 폐업하는 경우가 55.3%에 달했다. 1년 미만이 30.1%, 1년 이상∼2년 미만은 25.2%였다. 2년 이상∼4년 미만은 22.9%, 4년 이상은 21.8%였다.
이번 연구는 청년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해 청년 자영업자들의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청년패널조사는 2007년 당시 만15∼29세인 1만명을 표본으로 추출해 이들의 학교생활, 취업 등 사회경제 활동 등을 해마다 추적한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 청년 자영업자는 2015년 기준으로 만 23∼37세 중에서 혼자 또는 무급 가족종사자와 함께 사업체를 운영한 적이 한 번이라도 있는 사람으로 설정됐다. 대상자는 총 555명(남성 281명·여성 274명)으로 집계됐다.
청년 자영업자의 월평균 소득은 226만 7000원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253만 5000원인데 비해 여성은 199만 8000원으로 성별 소득 격차가 60만원 가까이 됐다.
산업별로는 도소매·음식업(40.6%)이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직업별로는 영업판매직(35.1%), 서비스 관련직(18.2%) 순으로 나타났다.
학력별 분포는 대졸 이상이 36.9%로 가장 많았고, 고졸 이하 36.0%, 전문대졸 27.1%로 집계됐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고졸 이하가 42.3%로 가장 많았고, 여성은 대졸 이상이 42.7%나 됐다.
황광훈 책임연구원은 “청년 자영업자는 초기 시장 정착이 중요하다”면서 “노동시장 이탈 및 퇴출 가능성이 큰 저소득 수입자를 중심으로 자금 지원 확대와 심층적인 경영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