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갈등으로 해외 의대 합격자 증가
269명 중 52명…전체 합격자의 19.3%
전년도 해외 의대 출신 합격자는 0.8%
의사 관련 이미지. 아이클릭아트
정부의 의대 증원 2000명 발표로 촉발된 의정 갈등이 1년 가까이 이어지는 가운데, 올해 의사 국가시험(국시) 최종합격 5명 중 1명은 해외 의과대학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의정 갈등으로 국내 의대 본과 4학년의 국시 응시가 대폭 줄어든 탓이다.
26일 보건복지부가 전진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2일 발표된 제89회 의사 국시 최종 합격자 269명 중 52명(19.3%)은 해외 의대 출신이었다.
국가별로 보면 헝가리 의대 출신이 39명으로 가장 많았고 미국·러시아·영국 등 다른 나라 의대 출신은 각 1∼2명이었다.
의사 국시에서는 보통 해마다 의대 정원보다 조금 많은 3000명대 초반의 합격자가 나온다. 전년도에도 3045명의 합격자가 나왔다.
이번 의사 국시 응시 예정자도 국내 의대 본과 4학년, 전년도 시험 불합격자, 외국 의대 졸업자를 합쳐 3200여명이었다.
하지만 정부의 의대 증원 발표에 반발한 대다수의 의대생이 휴학하면서 약 10%인 382명만 시험에 응시했다. 합격자도 전년도의 8.8%에 불과한 269명에 머물렀다.
다만 올해 해외 의대 출신 합격자 수는 52명으로 작년보다 2배 이상 늘었다.
이전 회차인 88·87회 의사 국시 합격자는 각각 3045명, 3181명이었으며, 이 중 해외 의대 출신 비율은 각각 25명(0.8%), 32명(1%)에 불과했다.
한편 신규 의사 배출 절벽이 현실화하면서 전공의와 전문의 배출에도 줄줄이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각 수련병원은 국시 최종 합격자와 지난해 인턴 사직자 등을 대상으로 다음 달 3∼4일 상반기 수련 인턴을 모집할 예정이지만, 국시 합격자가 적은 데다가 전공의들의 대거 복귀 움직임도 아직 없어 지원은 저조할 전망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