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시모집 전형 명칭 6가지로 간소화된다

올해 수시모집 전형 명칭 6가지로 간소화된다

입력 2013-06-02 00:00
업데이트 2013-06-02 10: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정과제 ‘대입전형 간소화’에 따른 ‘부제 기준’ 마련교육부 “당락 결정하는 비중 반영해 부제 정해야”

2천개에 육박하는 대학 수시모집의 전형 명칭이 6가지로 단순화된다.

교육부는 올해 9월 시작되는 2014학년도 대입 수시모집을 앞두고 ‘수시모집 전형명칭에 대한 부제설정 기준’을 최근 확정해 각 대학에 전달했다고 2일 밝혔다.

대학은 자체적으로 정한 전형명칭에 교육부가 마련한 부제를 달아 오는 7일까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이하 대교협)에 제출해야 한다.

부제는 비중있게 반영하는 전형요소에서 이름을 따 ▲학생부 중심 ▲입학사정관(학생부 중심) ▲논술 중심 ▲실기·적성(특기)·면접 등 네 가지로 구분된다.

실기·적성(특기)·면접은 다시 ▲실기 중심, ▲적성(특기) 중심, ▲면접 중심으로 세분화돼 실제로는 6가지가 된다.

전형요소가 두 가지 이상이면 반영 비율이 높은 것이 부제가 된다. 가령 조형예술학과에서 디자인특기자를 학생부 40%, 실기 60%로 선발하면 이 입학전형의 부제는 ‘실기 중심’이 된다.

교육부는 전형요소의 반영비율이 비슷한 경우 대학이 자율적으로 판단해 어느 하나의 부제로 분류한 뒤 해당 부제를 선정한 사유를 쓰게 했다.

특히 논술 등 대학별고사가 전형요소에 포함되는 경우 대학별고사의 반영비율이 높지 않더라도 대학별 고사의 비중을 충분히 고려해 부제를 정하도록 했다.

상위권 대학의 인기학과에서 학생부 60%, 논술 40%로 학생을 선발한다고 했을 때, 지원자 대부분이 1등급이라면 당락이 논술에서 갈릴 수 있으므로 이때는 실제 비중을 고려해 부제를 ‘학생부 중심’이 아니라 ‘논술 중심’으로 기재하라는 것이다.

교육부의 이번 조치는 국정과제인 대입전형 간소화 시행에 앞서 복잡한 전형명칭으로 인한 수험생들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서다.

이투스청솔이 대교협 사이트에 공시된 2014학년도 전국 215개 대학의 모집전형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수시모집 전형유형이 1천846개에 달한다. 정시 1천37개까지 더하면 전체 대입전형 유형은 2천883개로 늘어난다.

교육부는 대학들이 제출한 전형명칭과 부제를 취합해 다음달 중으로 모집요강 주요사항을 담은 책자를 발간할 계획이다.

정시모집의 경우 10월 중으로 단순화된 명칭을 마련한다. 현재 수시모집의 부제 체제가 유지되면서 ‘수능 중심’이 추가되는 형태가 될 전망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다양한 전형유형으로 학생과 학부모들이 준비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부제를 달아 유형을 분류하면 학생이 어디에 중점을 둬야 할지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입시 준비의 혼선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