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와 수사는 무관 ?… 檢 신뢰 걸린 우병우 수사

통화와 수사는 무관 ?… 檢 신뢰 걸린 우병우 수사

최지숙 기자
입력 2017-03-05 22:16
수정 2017-03-06 00: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수남 총장 등 수시로 통화
외압·수사 개입 없었다지만
통화 내용 확인 사실상 어려워
檢 “의혹 물증 확보 엄정 수사”


우병우(50)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지난해 국정농단 사태가 불거진 이후 법무부 및 검찰 간부들과 수시로 통화를 주고받은 것으로 드러나면서 우 전 수석 수사를 다시 맡게 된 검찰의 고심도 깊어지고 있다.

5일 사정당국 등에 따르면 우 전 수석은 지난해 김수남 검찰총장과 김주현 대검찰청 차장검사, 안태근 법무부 검찰국장 등과 적게는 수회에서 많게는 수백회 통화를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우 전 수석이 업무용 휴대전화로 이들 수뇌부와 수시로 통화한 사실을 파악했지만 어떤 대화를 나눴는지는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선 우 전 수석이 지난해 7월부터 10월까지 김 총장과 20여 차례 통화한 것을 두고 본인에 대한 수사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것 아니겠느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김 총장은 통화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해외 출장 및 검찰 개혁 관련 논의차 통화한 것일 뿐 수사 관련 내용은 전혀 없었다”는 입장이다.

법무부 관계자 역시 “우 전 수석이 민정수석으로 있을 당시 직무상 검찰 운영상의 의문점을 묻거나 논의하기는 했지만 부당한 인사 조치 지시나 수사 개입 등은 없었다”고 말했다.

검찰로서는 이 같은 의혹 제기에도 불구하고 이를 사실로 확인할 수단이 마땅치 않아 부담이 큰 상태다. 명확한 실체 규명을 위해 관계자들 조사와 통화 내용 확인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지만 어디까지 조사가 가능할지는 미지수다.

우 전 수석의 수사 외압 의혹 역시 정당한 지휘권 행사인지, 외압인지를 놓고 검찰 내부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세월호 수사팀의 한 관계자는 “우 전 수석이 절차를 밟지 않고 직접 담당 검사에게 전화한 것은 문제로 비칠 수 있지만 외압으로 보긴 어렵다는 견해가 팀내에서도 많았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검찰은 일단 추가적인 물증 확보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검찰 관계자는 “의혹을 범죄 혐의와 직결시켜 입증하기까지 난관이 있을 수 있지만 수사는 엄정하고 철저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지숙 기자 truth173@seoul.co.kr
2017-03-06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