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강희 감독 행복한 고민

최강희 감독 행복한 고민

입력 2012-08-17 00:00
업데이트 2012-08-17 00: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붐비는 주전급… 다음 필승카드 누구로 하나

“런던에서 뛰었든, 안양에서 뛰었든 상관없다. 이들을 다 모으면 우린 더욱 강해질 수 있다.”

이미지 확대
‘최강희호의 황태자’로 우뚝 선 이근호(왼쪽)가 지난 15일 안양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잠비아와의 축구 대표팀 평가전에서 후반 교체돼 운동장을 빠져나오며 최 감독과 손을 맞잡고 있다. 연합뉴스
‘최강희호의 황태자’로 우뚝 선 이근호(왼쪽)가 지난 15일 안양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잠비아와의 축구 대표팀 평가전에서 후반 교체돼 운동장을 빠져나오며 최 감독과 손을 맞잡고 있다.
연합뉴스


최강희(53) 월드컵축구 대표팀 감독이 행복한 고민에 빠졌다. 브라질월드컵 최종예선에 대한 자신감도 더 커졌다. 올림픽이 끝난 뒤 한층 두꺼워진 선수층 때문이다. 이젠, 누구를 골라 써야 할지 손가락을 꼽아야 할 정도다.

지난 15일 열린 잠비아와의 평가전에는 K리거들이 나섰다. 이근호(27·울산)를 비롯해 이동국(33·전북), 곽태휘(31·울산) 등 기존 선수뿐 아니라 김형범(28·대전), 정인환(26·인천), 김진규(27·서울) 등 새로 승선한 선수들의 활약이 눈에 띄었다. 김형범은 날카로운 킥과 크로스로 강한 인상을 남겼고 정인환은 중앙 수비로 뛰다 수비형 미드필더로도 뛰는 등 멀티 능력을 보였다. 김진규·고요한(24·서울)도 수비에서 무난한 활약을 펼쳤다. 최강희 감독은 “여러 조합, 선수 실험을 했는데 어려움 속에서도 잘해 줬다.”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맨 먼저 이근호가 눈에 띈다. 사실, 그는 남아공월드컵 지역예선에서도 ‘허정무호의 황태자’로 명성을 떨쳤다. 당시 대표팀에 발탁됐지만 중용되지 못했던 이근호는 허정무호가 3차예선에서 해외파의 컨디션 난조 등으로 부진에 빠지자 뜻밖의 기회를 잡으며 세대교체의 선봉장으로 떠올랐다. 하지만 그게 다였다. 정작 본선을 앞두고는 극심한 슬럼프에 빠졌고 결국 배에서 내렸다. 한동안 절치부심의 세월을 보내야 했다. 그러나 올해 초, 한동안 잊힌 이근호를 부른 건 최강희 감독이었다. 이근호는 부름에 보답했다. 한국축구의 명운이 걸렸던 지난 2월 쿠웨이트전에서 쐐기골을 작렬시킨 뒤 6월 카타르와의 최종예선 1차전에서 2골, 레바논과의 2차전에서 1도움을 올렸다.

유난히 국내파를 아끼는 최 감독으로선 이근호 등 기존 K리거와 함께 올림픽팀 자원들도 최종 예선에 내보낼 공산이 크다. 측면 수비로 나섰던 김창수(27·부산)·윤석영(22·전남)·오재석(22·강원) 등에 기성용(23·셀틱)과 호흡을 맞췄던 박종우(23·부산)도 충분히 발탁될 수 있는 선수다. 홍명보(43) 전 올림픽대표팀 감독도 “올림픽팀 선수들의 경험이 A대표팀이 좋은 경기력을 발휘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대표팀의 풍부해진 스쿼드는 다양한 전술 운영을 가능케 한다. 주전, 비주전의 격차를 줄이는 효과도 있다. 무엇보다 K리거와 올림픽 대표뿐 아니라 기존 해외파나 주전급까지 예외 없이 주전 경쟁에 몰입하게 하고 결과적으로 월드컵 본선 출전과 성적에 절대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 감독은 “대표팀의 저변이 확대되면 경쟁력이 더 높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최병규기자 cbk91065@seoul.co.kr

2012-08-17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