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안전에 ‘유의

전기 안전에 ‘유의

입력 2012-08-27 00:00
업데이트 2012-08-27 13: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초강력 태풍인 ‘볼라벤’이 한반도를 강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전기 안전 관리를 위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27일 기상청과 한국전력 등에 따르면 이번 태풍의 예상 진로와 유사한 진행 경로를 보였던 2010년 제 7호 태풍 ‘곤파스’로 인해 당시 전국에서 168만 가구가 정전피해를 입었다.

당시 정전 원인을 보면 개인소유의 수목도괴(70%), 간판·천막 등 시설물 접촉(20%)으로 인한 사고가 90%에 달했다.

한전은 “국민들은 전기 안전 관리를 위한 요령을 숙지해야 한다”고 당부한 뒤 “간단한 사전 예방 조치만 취해도 정전을 막을 수 있다”고 전했다.

다음은 태풍이나 집중 폭우시 정전 예방 및 전기안전 관리 요령이다.

▲ 전력설비에 인접한 개인소유의 수목은 강풍에 도괴되지 않도록 지지대를 설치하고, 나뭇가지가 전력선에 접촉하지 않도록 사전에 가지치기를 시행해 충분한 이격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 간판, 지붕, 천막 등은 강풍에 날리지 않도록 접속부를 잘 점검하고, 이상이 있을 경우 사전 보강조치를 취한다.

▲ 도로변의 가로등, 교통신호등, 입간판 등과 같이 전기를 이용하는 시설물이 물에 잠겼을 때는 감전을 예방하기 위하여 접근을 금지한다.

▲ 집안이 침수됐을 경우 전기 콘센트나 전기기기 등을 통해 전기가 흐를 수 있기 때문에 배전반의 전원스위치를 반드시 내린 다음 물이 완전히 빠진후 전문기관의 점검을 받은 후 집으로 들어가야 한다.

▲ 손이나 발에 물이 묻은 상태에서 전기기기를 다룰 때는 감전사고 가능성이 평상시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반드시 물기를 제거 한 뒤 전기제품을 취급해야 한다.

▲ 세찬 비바람이 몰아쳐 전주 위의 전선이나 전주에서 집으로 연결된 전선이 끊어진 것을 발견하였을 때는 절대로 접근하거나 만지지 말고 한국전력(국번 없이 123)으로 즉시 신고해야 한다.

▲ 농촌에서 폭우가 쏟아질 경우 야외에서 작업을 많이 하는데 이때 모터와 같은 전기장치를 만질 때는 손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주의를 기울이면서 전기장치를 만져야 한다.

▲ 야외에서 낙뢰가 발생하면 나무나 전주 바로 밑은 위험하므로 나무에서 적어도 1~2m 이상은 떨어져 있어야 한다.

▲ 끊어진 전선이나 침수된 전력설비를 발견하면 한전 직원들이 올 때까지 절대로 접근하지 말고 기다려야 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