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시장 불안 지속…상반기 서울 전셋값 2.2%↑

전세시장 불안 지속…상반기 서울 전셋값 2.2%↑

입력 2013-06-20 00:00
업데이트 2013-06-20 11: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세시장 불안이 계속되면서 상반기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이 지난해 전체 수준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국민은행의 부동산정보사이트 ‘KB부동산 알리지’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이달 17일 현재 지난해 말보다 평균 2.20%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연간 상승률 2.21%와 비슷한 수준이다.

서울에서 전셋값이 가장 많이 오른 구는 강남구로 3.49%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연간 상승률(0.63%)을 훨씬 웃도는 수준으로, 재건축 이주 수요와 겨울방학 학군 수요 등이 몰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강서구(3.14%), 강북구(3.10%), 성동구(3.09%), 광진구(3.06%) 등도 3%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 25개 구 가운데 전셋값이 하락한 구는 없었다.

인천시 아파트 전셋값도 올해 상반기 2.21% 올라 지난해 연간 상승률(2.65%)에 근접했다.

구별로는 연수구(3.82%)와 부평구(3.54%)의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경기도의 올해 상반기 전셋값 상승률(2.06%)은 지난해 연간 상승률(2.65%)을 약간 밑돌았다.

지역별로는 이천시(5.11%), 용인시 수지구(4.26%), 안산시 단원구(3.65%), 과천시(3.57%), 의왕시(3.50%) 등의 전셋값이 많이 올랐다.

동두천(-0.14%)은 미군 임대수요 감소 등으로 유일하게 떨어졌다.

올해 들어 아파트 전셋값이 가장 많이 오른 광역자치단체는 대구시(4.70%)였으며, 경북(4.36%), 충남(3.51%), 대전시(3.48%), 충북(2.79%) 등이 뒤를 이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부동산시장 침체로 집을 사지 않고 전세로 눌러앉는 세입자들이 많은데다 집주인들이 전세를 월세로 돌리다보니, 전세시장 수급에 엇박자가 생겨 전세가격 불안이 계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