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시장 불안 지속…상반기 서울 전셋값 2.2%↑

전세시장 불안 지속…상반기 서울 전셋값 2.2%↑

입력 2013-06-20 00:00
업데이트 2013-06-20 11: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세시장 불안이 계속되면서 상반기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이 지난해 전체 수준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국민은행의 부동산정보사이트 ‘KB부동산 알리지’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이달 17일 현재 지난해 말보다 평균 2.20%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연간 상승률 2.21%와 비슷한 수준이다.

서울에서 전셋값이 가장 많이 오른 구는 강남구로 3.49%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연간 상승률(0.63%)을 훨씬 웃도는 수준으로, 재건축 이주 수요와 겨울방학 학군 수요 등이 몰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강서구(3.14%), 강북구(3.10%), 성동구(3.09%), 광진구(3.06%) 등도 3%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 25개 구 가운데 전셋값이 하락한 구는 없었다.

인천시 아파트 전셋값도 올해 상반기 2.21% 올라 지난해 연간 상승률(2.65%)에 근접했다.

구별로는 연수구(3.82%)와 부평구(3.54%)의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경기도의 올해 상반기 전셋값 상승률(2.06%)은 지난해 연간 상승률(2.65%)을 약간 밑돌았다.

지역별로는 이천시(5.11%), 용인시 수지구(4.26%), 안산시 단원구(3.65%), 과천시(3.57%), 의왕시(3.50%) 등의 전셋값이 많이 올랐다.

동두천(-0.14%)은 미군 임대수요 감소 등으로 유일하게 떨어졌다.

올해 들어 아파트 전셋값이 가장 많이 오른 광역자치단체는 대구시(4.70%)였으며, 경북(4.36%), 충남(3.51%), 대전시(3.48%), 충북(2.79%) 등이 뒤를 이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부동산시장 침체로 집을 사지 않고 전세로 눌러앉는 세입자들이 많은데다 집주인들이 전세를 월세로 돌리다보니, 전세시장 수급에 엇박자가 생겨 전세가격 불안이 계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