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가 아기와 같은 침대서 자는 것은 학대행위”

“부모가 아기와 같은 침대서 자는 것은 학대행위”

입력 2013-09-13 00:00
수정 2013-09-13 13: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뉴질랜드에서 부모가 갓 태어난 아기와 같은 침대서 자는 것은 일종의 학대행위로 간주돼야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이는 부모와 같은 침대서 자던 유아가 부모 때문에 질식사하는 사건이 종종 발생하는 데 따른 것이다.

13일 뉴질랜드 언론에 따르면 검시국의 월러스 베인 검시관은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8월 부모와 같은 침대서 잠을 자던 도중 숨진 생후 2개월 된 아기의 사인이 질식사로 나타났다며 부모가 아기와 같은 침대에서 자는 것을 일종의 학대행위로 보아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베인 검시관은 침대를 같이 쓰다가 죽는 것과 같은 유아 사망은 얼마든지 피할 수 있다며 “뉴질랜드에서 침대에서 같이 자다가 목숨을 잃는 사건이 1년에 55∼60건 정도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런 죽음은 모두 100% 예방할 수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생후 2개월 된 아기가 목숨을 잃게 된 것은 부모 사이에서 잠자다가 숨진 것이라며 “부모들 때문에 베개에서 미끄러지면서 얼굴이 푹신푹신한 침대 시트에 파묻힘으로써 질식사에 이르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검시국의 견해는 어린 아기와 침대에서 함께 잠을 자다가 숨지게 하는 것은 일종의 어린이 학대로 봐야 한다는 것”이라며 “검시국은 정부가 이런 측면의 어린이 학대를 진지하게 검토해 법 개정 때 반영하도록 권고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3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