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장을 내지 말라고 지침 내려온 상태”
비서실장 주재 수석비서관 회의도 취소
김용현 전 장관 ‘긴급체포’ 놀란 분위기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대국민 담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12/08/SSC_20241208155423_O2.jpg.webp)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대국민 담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12/08/SSC_20241208155423_O2.jpg.webp)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대국민 담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선으로 후퇴하고 한덕수 국무총리와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국정 운영의 열쇠를 쥐게 되면서 대통령실 기능은 사실상 정지된 상태다. 약 300명에 달하는 직원들은 비상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윤 대통령의 활동이 제한되면서 대부분 참모진의 기능도 불필요한 상황이 됐다.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민의힘 의원들의 표결 불참으로 폐기되자 대통령실은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하지만 그것도 잠깐, 8일 오전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긴급 체포되자 놀란 분위기가 역력했다. 곧이어 경찰청 국가수사본부가 국방부 압수수색에 돌입하자 대통령실도 긴장감을 감추지 못했다. 한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통화에서 “미안하다. 이야기할 것이 없다”고만 했다.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이 탄핵안 표결에 앞서 직접 대국민 담화를 발표한 만큼 이에 대한 별도 메시지도 내놓지 않았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통화에서 “입장이 없다. 어떤 상황이 나와도 입장을 내지 않을 예정”이라며 “입장을 내지 말라고 지침이 내려왔다”고 밝혔다. 한 총리와 한 대표의 대국민간담회 이후에도 ‘입장이 없다’를 유지했다.
참모진은 전원이 24시간 비상 대기 상태다. 하지만 국회 및 수사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것 외에 고유 기능은 멈췄다. 정진석 비서실장은 이날 일요일 오후마다 개최하던 실장 주재 수석비서관회의(실수비)를 열지 않았다. 실수비는 통상 정책 진행 상황을 점검하는데, 대통령이 권한을 위임한 상황에서 정책을 정비할 때가 아니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대언론 기능도 사실상 작동하지 않고 있다.
월요일마다 열리는 대통령 주재 수석비서관회의는 개최 여부를 예측하기 어렵다. 월요일 정오에 오찬을 겸해서 열리는 윤 대통령과 한 총리의 주례회동은 취소됐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정 실장, 성태윤 정책실장, 신원식 국가안보실장과 주요 수석들은 일괄 사의를 표명했지만 모두 유보된 상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지금은 사태 수습이 중요하다”며 “대통령실이 중심을 잡고 질서 있게 있어야 한다”고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