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방문 17번 확진자 경기 고양시 명지병원에 격리

싱가포르 방문 17번 확진자 경기 고양시 명지병원에 격리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20-02-05 11:05
업데이트 2020-02-05 11: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27일 국내 세번째 ‘신종코로나감염증’ 확진자가 치료 중인 경기도 고양시 명지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 앞에 보호자의 방문자제를 요청하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20.1.27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27일 국내 세번째 ‘신종코로나감염증’ 확진자가 치료 중인 경기도 고양시 명지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 앞에 보호자의 방문자제를 요청하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20.1.27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중국이 아닌 싱가포르를 방문한 뒤 입국한 38세 한국인 남성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폐렴)’ 추가 확진을 받았다. 16번 환자(42·여)의 딸인 21세 한국인도 감염 판정을 받으면서 국내 확진자 수는 5일 총 18명으로 늘었다.

콘퍼런스 참석을 위해 지난 1월 18일~24일 싱가포르를 방문한 17번 환자는 앞서 일본 방문 뒤 국내에서 확진 판정을 받은 12번 환자(48·중국인 남성)와 태국을 방문한 16번째 환자(42·여)에 이은 세 번째 ‘제3국 감염’자로 추정된다.

모두 중국을 다녀오지 않은 만큼 중국 외 다른 국가로부터 바이러스 유입 우려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까지 조사된 역학조사에 따르면, 17번 환자는 싱가포르 행사 참석자 중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가 있다는 연락을 받고 지난 4일 국내 병원 선별진료소를 방문해 검사를 받았다.

17번 환자는 경기도 구리시에 거주하며 현재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이 있는 경기도 고양시 소재 명지병원에는 격리입원 중이다.

한편 명지병원에는 17번 환자 외에 3번 환자(54·남)가 지난 1월 25일 입원해 지금까지 치료를 받고 있다.
이미지 확대
명지병원에 설치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선별진료소
명지병원에 설치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선별진료소 27일 경기 고양시 명지병원에 우한 폐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선별진료소가 설치되어 있다. 지금까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국내 확진 환자는 총 3명으로 첫 번째 확진 환자는 폐렴 소견이 나타나 인천의료원에서 치료 중이고, 두 번째·세 번째 환자는 안정적인 상태를 보이고 있다. 2020.1.27
뉴스1
18번 환자는 어머니인 16번 환자로부터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 태국 여행을 다녀 온 16번 환자가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18번 환자는 격리 중 검사를 받았다.

광주 보건환경연구원에서 실시한 검사 결과 5일 양성 판정을 받았다.

16번 환자의 다른 가족으로는 남편(47·남)과 고등학생 딸(18·여), 유치원생 아들(7·남)이 더 있다. 이들 모두 현재 자가격리 상태다.

18번 환자는 세 번째 가족 감염 사례다.

앞서 12번 환자(48·중국인 남성)도 일본에서 건너와 국내에서 확진 판정을 받은 뒤 부인 14번 환자(40·여)가 추가 감염됐다.

또 3번 환자로부터 감염된 6번 환자(56·남)도 부인(54·여)과 아들(25·남)에 바이러스를 전파했다.

16번 환자 역시 중국이 아닌 태국 여행을 다녀온 것으로 파악되면서 감염원 확인이 복잡한 상황이다.

여러 감염 경로를 예측해야 하기 때문에 접촉자 확인도 어려워지고 있다.

질병관리본부 역시 이상한 점이 많다는 입장으로 태국내 중국 우한시 주민과 접촉했거나 공항 감염 등 여러 가능성을 열어두고 역학조사를 진행 중이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